올해 국내 자전거 인구가 500만명을 넘어서며 자전거는 서민의 발로써 그 역할을 톡톡히 해냈다. 고유가 시대에 따른 가계부담으로 자출족이 늘었고, 자전거 동호회뿐 아니라 취미로 자전거를 즐기는 사람들을 주변에서 쉽게 발견할 수 있었다. 정부는 저탄소 녹색성장을 일환으로 업그레이드 2011 자전거 정책 발표, 4대강 자전거길 개통, 녹색자전거열차 등 자전거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해 박차를 가한 한 해였다.

 

갈수록 커지는 자전거 시장

지난 3월에 열린 바이크쇼에는 카본, 티타늄 등 첨단 소재를 사용해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자전거부터 MTB와 사이클이 가진 장점만을 모아 혼합시킨 하이브리드형 자전거, 친환경 전기자전거 등이 대거 등장했다. 자전거 시장의 성장과 함께 다양한 수요와 요구도 소비자의 맞춰 달라진 셈이다.

 


<미니벨로, 픽시자전거> 

 

올해 최고 사양의 고급 자전거들 사이에서 단연 젊은 층과 여성들에게 전폭적인 지지를 얻은 건 바로 미니벨로(Minivélo)와 픽시 자전거(Fixed Gear Bike)였다. 미니벨로는 그 특유의 작은 바퀴와 디자인이 예뻐서 특히, 자전거 초보자와 여자들이 부담 없이 선택한 입문용 자전거였다. 알톤, 스트라이다, 비토, 다혼, 메리다 등 브랜드 자전거가 인기였다.

 

픽시는 일반 자전거와 달리 직접 프레임, 핸들 바, 페달, 바퀴 등 부품을 바꿀 수 있어 새로운 자전거 튜닝 문화를 정착시켰다. 삼천리자전거는 이런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해 직접 자전거 컬러를 바꿀 수 있는 새로운 주문형 시스템 ‘메트로 바이크(Metro Bike)’를 선보였다. 자전거가 라이프와 맞물리면서 등산에 집중하던 아웃도어 업계도 경쟁적으로 바이크룩을 선보이며 자전거 액세서리 시장 확보에 나섰다.

 

<2011 자전거 분류별 구매클릭수 추이>

 

자전거 업계도 올해 날씨 변수는 못 비켜갔다. 자전거의 최고 성수기인 5월 이후부터 여름내 긴 장마로 인해 수도권 대부분의 강변길이 빗물에 잠겨 매출에 큰 타격을 입었다. 하지만 가을이 오자 9~10월 매출이 다시 반등했고 비수기에 해당하는 12월까지 길게 이어졌다. 올 겨울 예년보다 높은 이상 기온과 11월 말 4대강 자전거길 개통이 매출의 숨은 공신이었다.

 

<2011 자전거 제조사별 점유율>

 

내년 국내 자전거 업계는 전기자전거 점유율을 높이기 위해 국내 자전거 시장의 양대 산맥인 삼천리와 알톤스포츠 간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앞서 양사는 8월에도 국내 3위 자전거 업체인 코렉스자전거 인수전에서 경합해 알톤이 인수에 성공한 바 있다.

 

정부가 앞장선 자전거 사업

2009년부터 정부가 나서 ‘저탄소 녹색성장’이라는 정책 아래 자전거 이용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올해 4월 서울시는 ‘2011년 서울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을 발표했고, 11월에는 한강과 낙동강, 영산강, 금강을 따라 서울에서 부산까지 총 1,692㎞의 달하는 4대강 자전거 길을 완공했다.

 


<> 사진출처 : 행정안전부 

 

전국 자전거 종주길이 형성되면서 각 지자체에서도 여행과 자전거를 접목한 라이딩 코스 개발과 관광객 유치에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 코레일관광개발은 기차에 자전거를 싣고 도착지에서부터 라이딩을 즐길 수 있는 ‘녹색자전거열차’ 상품을 개발해 큰 호응을 얻기도 했다. 행정안전부는 4대강 자전거길에서 멈추지 않고 2019년까지 1조 5000억원을 투입해 총 3,120km에 달하는 ‘자전거 전국 일주도로’를 추진 중이다. 관광업계도 전국을 잇는 자전거 도로가 향후 지역관광 활성화의 기틀을 마련해 새로운 여행 트렌드로 자리 잡을 수 있을지 기대감을 모으고 있다.

 

하지만 앞서 서울시가 발표한 업그레이드 자전거 정책에서 일부 구간의 안전펜스와 연석, 차로 규제봉 등 돌출형 분리시설을 제거해 오히려 자전거 이용자의 안전을 위협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왔다. 충분한 사전조사 없이 자전거도로 네트워크 형성 등 과도하게 인프라 확장에만 신경 쓰고 있다는 비난을 피하지 못했다.

 

자전거 보험 있으나 마나

지난 7월 대형보험사들이 판매하는 자전거보험의 약관에 ‘대인·대물 배상책임담보’ 부분이 삭제되면서 실효성에 대한 논란이 일었다. 자전거 보험을 취급하는 보험사측은 최근 자전거 사고가 급격하게 늘면서 대인·대물 보상 손해율이 너무 커 어쩔 수 없다는 입장이다.

 

현재의 자전거 보험은 2009년 정부가 자전거 도로 구축과 함께 대비책으로 내놓은 ‘녹색 보험’상품이다. 당시 첫해 가입률이 1만 7,279건으로 성공적인 스타트를 보여주는 듯 했지만 2010년에는 가입자수가 7,833건으로 54.6% 눈에 띄게 줄었다.

 

또한 자전거보험에는 사고 못지 않게 자주 발생하는 파손이나 도난 부분도 보상범위에 들어있지 않다. 자전거는 자동차와 달리 감가상각을 측정할 수 없고 국내 실정상 도난 여부도 확인할 길이 없으니 보상이 어렵다는 것이다.

 

급격하게 자전거 가입자수 줄었지만 아이러니하게도 보험사측은 기존에 운전자 보험이나 상해보험에 가입돼 있다면 굳이 자전거 보험을 가입할 필요가 없다고 조언한다.

 

자전거도로 위험구간에 대한 정비나 헬멧 착용 등 안전에 대한 인식이 미흡해 자전거 사고는 꾸준히 늘고 있다. 정부가 앞장서 자전거 활성화에 나섰다면 비단 보험 뿐 아니라 제도적 장치도 선진국 못지 않게 갖춰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IT조선 편집국 news@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it.chosun.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