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퍼블리카 "온라인 광고 개인정보 이용 한계 놓고 논란"

마이크로소프트와 야후가 정치권 선거캠프에 특정대상을 목표로 하는 온라인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는 데이터를 팔고 있다고 비영리 온라인 탐사보도매체 프로퍼블리카(ProPublica)를 인용해 시애틀타임스가 1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기업은 이용자들이 무료 이메일 서비스 등을 신청할 때 제공해야 하는 이름과 우편번호(Zip code) 등 각종 정보를 정치권의 선거운동 진영에 제공했다.

이들 업체는 이용자들에게 자신들의 정보가 정치진영에 제공됐다는 사실을 고지하지 않았다고 프로퍼블리카는 주장했다.

정치권의 선거운동 캠프가 이처럼 유권자들의 정보를 수집하는 것은 이전의 다이렉트메일(DM)을 이용할 때와 유사한 것으로 새로운 것이 아니며, 기업들이 이용자 개개인에게 맞춤식 온라인 광고를 하는 것도 일반적인 관행이다.

하지만 이 두가지 관행이 합쳐지면서 온라인 광고와 관련한 개인정보 이용의 한계를 놓고 새로운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지적했다.

온라인광고를 판매하는 언론·IT기업 단체인 인터렉티브 광고단체(IAB)의 선임부사장인 마이크 재니스는 "이같은 관행에 과도하게 민감할 것이 없다"며 "온라인상에서 얻어지는 정보는 다이렉트메일을 위해 얻어지는 것에 비해 많은 것도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디지털광고협회(DAA)의 법률고문인 스투 인기스도 "지지자로 보이는 유권자들에 (광고를) 집중할 수 있게 하는 것은 지극히 민주주의적인 것으로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비영리 정보보호 감시단체인 PRC(Privacy Rights Clearinghouse)의 폴 스티븐스 이사는 정치적인 선거운동과 관련된 표적 광고는 민주주의에 해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런 관행은 후보자들의 거짓 광고를 만들어낼 수 있으며, 이런 거짓광고는 일반적인 마케팅광고보다 훨씬 심각한 결과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예를 들어 보수적인 후보진영이 진보적이고 특히 환경보호론자인 특정 유권자에게 자신들이 환경문제에 관심이 많은 것처럼 타깃 광고를 할 수 있다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에 대해 "고객들에게 양당의 정치운동을 포함한 타깃광고를 하고 있지만 이때 사용되는 데이터는 개인의 신원을 확인할 수 없는 것들"이라고 주장했다. 야후는 코멘트요구를 거부했다고 이 신문은 덧붙였다.

nadoo1@yna.co.kr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