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과 중국 사이 ‘사이버 대전’ 전운이 짙게 감돌고 있다. 연방정부는 물론 대형 언론사까지 사이버공격으로 피해를 입은 미국이 공공연히 중국을 용의자로 겨냥하자, 중국은 관영매체까지 동원해 강하게 반발하고 나섰다. 양 측의 공방은 비난 수준을 넘어 극도의 감정 대립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4일(현지시간) AFP 통신 등에 따르면 미 정부 부처인 에너지부의 전산망이 지난달 중순 해커들로부터 공격을 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에너지부 직원들과 외주 업체 관계자 등 수 백명의 개인정보가 노출되는 피해를 입었다.

 

사실, 양 국 충돌은 앞서 터진 미국 대형 신문사들의 해킹사고에서부터 시작됐다. 지난 달 30일 뉴욕타임스가 최근 4개월째 중국 해커들의 공격을 받은 것으로 추정된다고 발표했다. 이 해커들은 뉴욕타임스 중국 상하이 지사장 이메일과 50여명의 비편집국 임직원 PC에 침투해 정보유출을 시도했다.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10월말 원자바오 전 중국 총리 일가의 3조원대 재산 축적 보도 기사를 보도한 매체다.

 

워싱턴포스트도 “중국 정부의 사주를 받은 해커들로부터 해킹 피해를 본 경험이 있다”며 “중국 정부가 관련 기사에 대한 현지 취재원의 출처를 알고 싶어하는 것 같다”고 폭로했다.

 

여기에 오는 4월 출간될 ‘새로운 디지털 시대’란 저서에서 에릭 슈미트 구글 최고경영자(CEO)가 “중국의 가장 활발하게 정보 검열에 열을 올리는 나라이면서도 외국 회사들을 감시하기 위해 가장 많은 해커들을 키우고 있는 국가”라고 지목하면서 사이버테러 공화국으로 중국을 지목했다.

 

중국도 발끈했다. 외신에 따르면 중국 공산당 기관지인 인민일보는 4일자 사설에서 “미국이 자국 이익을 위해 중국에 대한 두려움을 부추기고 있다”며 강도 높게 비난했다. 인민일보는 또 “미국이 중국 봉쇄전략의 새로운 구실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 중국에 계속해서 ‘해커’ 딱지를 붙이고 있다”며 “인터넷프로토콜(IP) 주소만으로 해킹 공격의 출처를 단정할 순 없다”고 사이버테러의 배후설을 강력하게 부인했다. 오히려 지난해 12월에만 중국 인터넷 사이트에 3,000건 이상의 해외 IP 주소에서 사이버 공격이 가해졌다며 중국 또한 해킹의 피해자라고 항변했다. 훙레이 중국 외교부 대변인도 중국발 미 언론 해킹 의혹과 관련, “이번 사건을 중국 정부나 군대와 연결하는 건 황당무계한 일”이라고 일축했다.

 

하지만 미국은 중국측의 이 같은 해명을 믿지 않으면서도 본격적인 사이버 전쟁 대응 전략을 강화하는 모습이다. 실제 미 정부는 현재 마련 중인 사이버전 관련 수칙에서 대통령에게 사이버 선제공격 명령권 부여 방침을 정했다. 대통령의 승인 시, 적국의 전산망에 악성코드를 심는 등 다양한 공격 수단도 사용하겠다는 의도에서다. 버락 오바마 행정부도 발전소 등 전력망이나 상수도, 금융 전산망과 같은 핵심 인프라의 사이버 방어력을 배가시키는 방안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함께 미 국방부는 산하에 사이버사령부 규모를 현재의 5배 이상으로 확대하는 한편 적극적인 공격 전력도 보강시킨다는 내용의 사이버군 육성 내부 방침까지 확정한 상태다.

 

미 정부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총력 대응키로 나서면서 향후 중국과의 사이버전쟁 발발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됐다.

 

[ 출처 : 채널IT http://www.channelit.co.kr ]

< 저작권자 ⓒ 채널IT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