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박상훈 기자] 아이패드용 오피스가 일주일 만에 1200만회 이상 다운로드되는 등 큰 인기를 끌고 있는 가운데 유독 국내에서만 이와 관련된 사실과 다른 내용이 널리 알려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양한 기기와 운영체제에 따라 기능 제한과 과금 모델이 제각각이어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오랜 고심 끝에 내놓은 아이패드용 오피스는 지난 달 28일 공개된 이후 5시간 만에 미국내 앱 스토어에서 인기 앱 1위를 기록했다. 전문가 평가도 우호적이어서 가장 완성도 높은 모바일 오피스 중 하나로 꼽힌다. 특히 터치용 기기에 최적화된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열기는 국내도 마찬가지여서 오피스 모바일을 다운로드하라는 내용의 SNS나 문자 메시지까지 널리 돌았다.

 

▲ 오피스 모바일을 '오늘까지만 무료로 배포한다'는 글. 실제 사실과 다르다.

 

그러나 이런 내용 중에는 잘못된 사실이 많다. 예를 들어 한 문자 메시지를 보면 "기존에는 PC에서만 작성해, 동기화한 후 보기만 가능했지만 오늘 하루만 모바일 오피스를 무료로 배포한다"는 내용이 들어있다. 원래 가격은 110달러이고 내일부터 정상가가 되니 당장 다운로드하라는 것이다. 메시지 아래에는 이들 앱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앱스토어와 구글 플레이의 주소가 적시돼 있다. 같은 내용의 블로그 글은 여전히 상당수가 인터넷에 남아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도 이를 파악하고 있었다. 업체 관계자는 "아이패드용 오피스 앱인데 안드로이드에서도 된다는 내용까지 봤다"며 "매우 당혹스러웠다"고 말했다.

 

정확히 말하면 '무료로 배포한 것'은 맞다. 그러나 '오늘만 무료'라는 내용, '보기 외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는 내용은 잘못됐다. 현재까지 나온 마이크로소프트의 모바일 오피스 앱은 3가지다. 가장 최근에 나온 것이 아이패드용 오피스(아이패드용 엑셀, 파워포인트, 워드 등 3가지로 구성)이고, 기존에 아이폰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모바일', 안드로이드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모바일'은 이미 나와 있는 상태다.

 

문제는 이들 앱들이 과금 모델과 기능 제한이 모두 제각각이라는 점이다. 아이패드용 오피스는 무료로 다운로드해 기존의 문서를 볼 수 있지만 이를 아이패드에서 수정하거나 새로 작성하려면 오피스 365 서비스 계정을 만들고 연 110달러를 유료 결제해야 한다. 반면 아이폰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모바일'은 오피스 365 계정만 있으면 문서보기, 수정, 작성이 모두 가능하다. 단, 휴대폰의 작은 화면에서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사용성이 크게 떨어진다.

 

▲ 마이크로소프트 모바일 오피스 앱 3종 비교

 

안드로이드용 '마이크로소프트 오피스 모바일'은 휴대폰에서 사용할 경우 보기, 수정, 작성 모두 가능하지만 안드로이드 태블릿에서 실행하면 보기만 가능하고 문서를 수정, 작성하려면 역시 오피스 365 서비스를 유료로 결제해야 한다. 안드로이드에서 폰과 태블릿의 구별은 폰 자체 브라우저를 쓰느냐 크롬을 사용하느냐에 따라 자동으로 판단한다고 한국마이크로소프트는 설명했다. 다시말해 iOS든 안드로이드든 휴대폰에서는 보기, 작성, 수정 모두 무료지만, 패드에서는 보기만 가능하고 작성, 수정하려면 유료 결제해야 하는 것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장기적으로 오피스를 다양한 운영체제와 플랫폼, 기기를 넘나들며 동일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하는 앱으로 발전시킨다는 구상이다. 기업의 문서파일이 사실상 오피스로 통일돼 있는 상황에서 메일에 첨부된 오피스 파일을 어떤 운영체제나 기기에서든 열고 수정하고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최종적인 목표다.

 

그러나 단기적으로는 기기와 운영체제에 따라 각각 서로 다른 기능 제한과 가격 모델이 적용되면서 사용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공유하는 등 혼란스럽게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패드 기기에 대해 기능 제한을 둔 것은 오피스 365 유료 사용자를 늘려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된다.

 

정우진 마이크로소프트 대표 컨설턴트는 "아이패드용 오피스를 포함해 다양한 오피스 앱을 내놓는 것은 PC가 아닌 영역에서 제3의 오피스가 성장하는 것을 더 좌시할 수 없다는 판단이 반영된 것"이라며 "일단은 안드로이드와 iOS 같은 주요 모바일 운영체제를 중심으로 지원을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nanugi@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