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노동균 기자] 데스크톱 및 일체형 PC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을 둘러싼 논란이 끊이지 않고 있다.

 

먼저 대립각을 세운 쪽은 대기업 및 대기업에 OEM으로 제품을 납품하는 중소협력사들이다. 최근 이들 기업들을 주축으로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는 PC 품목의 중소기업자간 경쟁제품 지정이 기존 대기업 관련 OEM 중소기업 및 부품업체들의 매출감소로 이어지고 있다며 반발하고 있다.

 

진흥회의 주장은 정부가 PC를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지정 1년 만에 대기업에 OEM으로 부품을 공급하는 한 기업이 문을 닫는 등 관련 중소기업들의 매출이 감소하고 일자리도 줄어드는 등 역차별을 당하고 있다는 것이다. 즉, 중소기업 살린다고 다른 중소기업을 죽이고 있다는 얘기다.

 

이러한 논리로 진흥회는 당초 PC의 중소기업간 경쟁제품 지정비율이었던 2013년 50%, 2014년 75%, 2015년 100%를 다시 50% 수준으로 축소하는 한편, 일체형 PC의 지정 제외를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PC 중소기업 관련 부품업체들의 권익보호 및 매출증진을 위해 구성된 전국PC부품중소기업연합회가 즉각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한주연 연합회 회장은 “최근 OEM 중소기업 및 모 진흥회의 주장은 일반적인 논리 및 중소기업의 발전 상생에 전혀 맞지 않는 주장”이라고 일축했다.

 

연합회 관계자는 “OEM 중소기업 및 진흥회의 주장은 십수년간 대기업의 등에 업혀 편안하게 OEM 생산만 해온 중소기업들이 대기업의 국내 생산물량이 줄어들자 이를 마치 경쟁제품지정 탓으로 몰아가고 있는 것”이라며 “이는 대기업의 기존 요구를 대변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실제로 OEM 중소기업 주장대로 일부에서 어려움을 겪는다 해도, 대기업의 국내 PC 출하량은 조달시장의 3배 이상에 달하는 126만대로, 기본적인 물량 차이가 극명함에도 존폐 위기를 논하는 것은 연합회 중소기업들과 비교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공공 PC 시장에서 중소기업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이 제기된 것은 지난 2011년 동반성장위원회가 중소기업 적합업종 및 품목 가이드라인에 데스크톱 PC를 포함시키면서부터다. 당시 정부 조달시장의 70~80%를 차지하고 있던 대기업 및 협력사들은 동반위 방침에 반발했고, 데스크톱 PC의 중소기업 적합업종 지정은 해를 넘긴 2012년 12월에야 확정, 2013년부터 본격 시행되고 있다.

 

▲2012~2013년 조달청 나라장터 PC 구매 금액 변화 추이(자료=정부조달컴퓨터협회)

 

한편, 정부조달컴퓨터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공공기관들이 조달청 나라장터를 통해 중소기업 PC를 구매한 금액은 총 1745억 원으로, 2012년 998억 원 대비 약 70%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 PC 구매금액은 1년 새 2112억 원에서 약 2/3 수준인 1384억 원으로 감소했다.

 

노동균 기자 yesno@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