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조선 박상훈 기자] 국내 중소 소프트웨어 기업이 해외 진출에 나설 때 가장 큰 걸림돌 중의 하나가 현지화이므로 이를 지원하는 체계적인 정책을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한국무역협회가 최근 발표한 '소프트웨어 수출 확대를 위한 현지화 지원, 어떻게 할 것인가'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 소프트웨어(SW) 수출은 최근 큰 폭의 증가세를 보여 지난해의 경우 전년 대비 62.5% 증가했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전체 수출 규모는 다른 나라에 비해 매우 저조한 수준이다. 우리나라 수출액은 2013년 기준 전세계 수출액의 0.3%에 그쳤다. 500억 달러가 넘는 인도는 물론 필리핀(22억 달러), 말레이시아(20억 달러)보다도 적다.

 

▲ 우리나라 SW 수출 추이 (출처=정보통신산업진흥원)

 

SW 수출은 일반 상품과 달리 상대국 현지의 고유 환경에서 원활하게 구동되도록 하는 현지화 과정이 필요하다. 운영시스템과 주변기기 등의 컴퓨팅 환경부터 표시 언어, 날짜 서식은 물론 사용자 문서, 웹 사이트 등도 모두 현지 고유의 사회 문화적 요소를 반영해야 하고 이것이 모두 현지화의 범주에 포함된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현지화 과정을 원활하게 하려면 SW 개발 과정에서 일단 유연하게 국제 표준에 따라 개발한 후 특정 국가에 맞춰 수정하는 순서로 개발해야 한다고 지적한다. SW의 기능을 구현한 소스코드와 외형을 구성하는 이미지와 문자열 등 리소스를 분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반면 그동안 우리 SW 기업들은 일단 한국어로 개발한 후 해외진출시 현지 특성을 반영해 소스코드 자체를 수정하거나 추가 개발하는 형태로 현지화를 진행했다. 이 때문에 현지화 시간과 비용이 늘어나고 이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 큰 피해를 입기도 한다. 실제로 일본에 SW를 수출한 한 업체는 제품 설치 과정에서 표시되는 일본어 메시지 글자가 깨져 초기 물량 전부를 폐기했고, 또다른 업체는 매뉴얼 오류로 소프트웨어 뿐만 아니라 모든 매뉴얼을 새로 제작했다.

 

▲ 현지화를 고려한 이상적인 SW 개발 과정 (출처=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따라서 보고서는 SW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현지화에 대한 체계적인 지원이 절실하다고 지적했다. 현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 등에서 개별적으로 진행되는 현지화 지원 정책을 서로 연계해 일관된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소프트웨어 현지화 종합지원센터' 등을 새로 구성하는 방안도 내놓았다.

 

이동주 국제무역연구원 미래무역연구실 수석연구원은 "SW 수출은 아직 규모가 크지 않지만 올해 초 정부가 유망 서비스 업종 중 하나로 SW를 선정할 만큼 장기적인 성장 가능성이 높은 분야"라며 "국내 중소기업의 영세성과 비영어권이라는 불리함을 극복하고 SW 수출을 확대하려면 현지화 전반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박상훈 기자 nanugi@chosunbiz.com

상품지식 전문뉴스 IT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