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관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특히 세월호 참사 이후 위기관리의 중요성은 더 강조되고 있다. 다산 정약용 선생은 “재난을 미리 짐작하고 이를 예방하는 것이 재난을 만난 뒤 은혜를 베푸는 것보다 훨씬 낫다”고 했다. 기존 위기·재난관리 시스템을 재점검하고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대안을 제시한다. <편집자 주>

 

[IT조선 유진상] # 어두운 밤길, 여자의 비명소리가 들리고 통합관제센터에는 경보가 울린다. 이와 동시에 통합관제실 화면에는 CCTV 화면이 소리가 난 곳을 감지하고 그 곳 상황을 보여주는 동시에 경찰에 출동 명령이 떨어진다.

 

# ‘쿵!’ 후미진 골목길에서 행인을 치고 달아나는 뺑소니 차량. CCTV가 즉각적으로 소리가 난 곳의 위치를 파악해 차량이 움직인 방향으로 고개를 돌린다. 관제센터에는 현장화면이 전송되고 달아난 차량을 주변의 CCTV가 차례로 움직이며 보여준다.

 

▲지능형 CCTV 시스템 구성도(그림 = SK C&C).

 

위의 사례처럼 재난관리에서 CCTV는 영상감시 장치로서 ‘눈’으로 표현될 수 있다. 때문에 통합관제시스템이 사건, 사고의 범인을 추적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유동인구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CCTV 설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단순히 CCTV의 설치가 늘어나는 게 아니다. 기능 역시 단순한 주변상황 감시형 아날로그 CCTV에서 최근에는 디지털화, 네트워크화, 고화질화, 고성능화 및 다채널화 추세로 발전하면서 네트워크 기반의 지능형 CCTV로 빠르게 발전하고 있다. 특히 이제는 단순히 눈의 역할이 아니라 귀의 역할까지 하고 있는 것이 CCTV다.

 

전자부품연구원에 따르면, 글로벌 지능형 CCTV 시스템 전체 시장규모는 2011년 1050억 달러에서 연평균 14%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오는 2016년에는 205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특히 지능형 CCTV시스템의 핵심 장비인 네트워크 카메라의 경우 2016년 시장점유율은 전체 매출의 60%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글로벌 지능형 CCTV 시스템 시장 추이 (표 = 전자부품연구원).

 

국내의 경우 지능형 CCTV 시스템 관련 시장 규모는 2013년 초 기준 약 1조 2000억원 정도로 추정되고 있다. 안행부는 지난해 공공 및 민간 분야를 포함해 전국에 설치된 CCTV가 428만대로 2012년 대비 13.2%(50만대) 증가했다고 밝혔다.  

 

박세환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전문연구위원은 “CCTV 시스템은 최근 고의성 방화, 성폭행 및 각종 테러 등으로 인해 국내뿐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치안문제에 관심이 집중되면서 모든 지역과  전체 산업 분야에 필수 요소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특히 인터넷의 광대역화, 디지털 기술혁신에 따른 급속한 가격 하락, 아날로그 통합관제시스템 대비 저렴한 TCO(Total Cost of Ownership), 원격 관제 및 통제의 용이성, 네트워크 기반의 유지보수를 통한 비용 절감, 다양한 클라이언트 기기의 보급 확산 등 여러 요인에 의해 대중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CCTV 확대에 가장 적극적인 곳은 정부다. 지난해 안행부는 CCTV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는 방법용, 재난감시용, 교통단속용, 시설물관리용 등으로 나뉘어 운용되고 있는 CCTV를 전국 230개 시/군/구 단위로 통합 운영하는 CCTV 통합관제센터 구축지원 사업 등을 골자로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전국 10만여 대의 공공용 CCTV가 범죄현장을 24시간 감시할 수 있게 되며, 2만 9000여대의 CCTV가 추가 설치되는 등 지자체의 CCTV 프로젝트가 활성화됐다.

 

여기에 오는 2017년까지 모든 시군구에 CCTV 통합관제센터를 구축한다는 방침이다. 지난해 말까지 120곳이 구축됐으며 올해에는 28곳이 늘어났다. CCTV 통합관제센터는 여러 기관/부서에서 제각각 운영하는 CCTV를 한 곳에 모아 통합 대응하는 곳으로, 치안 유지효과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

 

▲ 지능형 CCTV 시스템 주요 구성요소 (표 = 전자부품연구원)

 

CCTV 영상정보 해킹 문제로 떠올라

 

이처럼 네트워크를 통한 지능형 CCTV 시스템에 의한 서비스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이러한 통합관제 시스템 적용지역이 늘어남에 따라 CCTV 시스템의 보안문제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특히 CCTV 시스템이 점차 IP 환경으로 진화하면서 인터넷 해킹기술을 그대로 CCTV 시스템에 사용할 수 있어 보안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영상을 수집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문제 또한 심각한 문제로 지적되고 있어 이에 대한 법적·제도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일부에서는 내부통제 시스템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CCTV 영상정보를 암호화해서 저장하고 인가된 단말기를 통해서만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영상기록관리시스템(IRMS : Image Record Management System)의 도입을 법제화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통해 영상정보 조회 및 반출 등에 대한 로그기록을 관리함으로써 수집한 개인영상정보를 암호화 통신을 통해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위원은 “CCTV 관제시스템의 정보 해킹 관련 이슈는 어느 지역을 어떻게 모니터링 할 것인가에서 CCTV 촬영 정보를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의 문제로 초점이 바뀌었다”며 “CCTV 영상정보 보안 유지를 원천적으로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암호화 기술과 이를 광범위하게 적요할 수 있는 방안에 주력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chosunbiz.co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