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현실(Virtual reality/ 이하 VR)은 언제부터 존재했을까. '스트레오스코피', '양안시차' 등 VR의 기초라 불리는 입체영상 기술의 개념은 19세기부터 출발했다. 현재 우리가 받아 들이는 VR의 개념은 1935년작 SF소설 '피그말리온의 안경(Pygmalion's Spectacles)'에서 발견할 수 있으며, 소설 속에서는 홀로그램은 물론 촉각과 후각에 대한 가상경험에 대한 묘사가 담겨있다.

VR 디바이스에 대한 대중적 화두를 몰고 온 VR헤드셋 '오큘러스 리프트'가 등장하기 전 어떤 VR 관련 기기들이 세상에 등장했는지, 196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그 발자취를 더듬어 봤다.

VR 디바이스의 시초는 1968년 당시 미국 유타 대학에서 컴퓨터 공학을 연구하던 이반 에드워드 서덜랜드(Ivan Edward Sutherland)가 만든 'HMD(헤드마운트디스플레이)'다.

이반 서덜랜드의 ‘HMD’
이반 서덜랜드의 ‘HMD’
VR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을 증폭시킨 것은 1980~1990년대 등장한 만화, 영화, 애니메이션 등 서브컬처 작품의 힘이 크다. 특히, 1995년 상영된 극장 애니메이션 '공각기동대'는 이후 등장하는 SF영화는 물론이며, 자아 혹은 정신이 가상세계 혹은 다른 인조인간 신체에 완전히 들어가는 '풀다이브(FullDive)' 개념을 일으켜 세우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VR헤드셋 ‘오큘러스 리프트'로 공각기동대 세계를 체험하는 앱 ‘공각기동대 버추얼 리얼리티 다이버’/ 프로덕션IG 제공
VR헤드셋 ‘오큘러스 리프트'로 공각기동대 세계를 체험하는 앱 ‘공각기동대 버추얼 리얼리티 다이버’/ 프로덕션IG 제공
인류의 VR에 대한 갈망은 여러 형태로 나타났다. 가장 먼저 등장한 제품은 1939년 출시된 '뷰마스터(View-Master)다. 뷰마스터는 양 눈에 조금씩 다른 사진을 비추는 스테레오스코픽 기술을 활용한 기기로 단순 입체 사진을 보여주는 것에 그쳤다.

뷰마스터/ 위키피디아 제공
뷰마스터/ 위키피디아 제공
1962년 만들어진 입체 영상 기기 '센소라마(Sensorama)'는 정지 사진을 넘어서 입체 동영상을 보여줬다. 센소라마는 양 눈에 다른 영상을 비춰 시청자가 입체 영상을 느끼게 하는 장치로 작지만 최초의 3D 영화관이기도 하다.

 입체 영상 기기 ‘센소라마'/ 위키피디아 제공
입체 영상 기기 ‘센소라마'/ 위키피디아 제공
1966년에는 워싱턴대학 교수인 토마스(Thomas A. Furness III)가 제작에 참여한 것으로 알려진 공군 조종사를 위한 '플라이트 시뮬레이터'가 등장한다. 여러 개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실제 환경에 가깝게 재현하는 플라이트 시뮬레이터는 현재 공군 조종사를 위한 훈련용 기기의 원형이다.

사용자의 손의 움직임을 VR에 적용한 것은 1987년이다. 미국의 VPL리서치라는 회사가 개발한 '데이터 글로브(DataGlove)'는 실제 사람의 손 움직임을 컴퓨터로 입력하는 것을 가능케 했다. VPL리서치는 이듬해인 1989년에 '사이버페이스(Cyberface)'란 이름의 VR헤드셋을 내놓는다.

 사이버페이스/ 하이테크히스토리 제공
사이버페이스/ 하이테크히스토리 제공
1990년대에 들어서면 VR이 게임에 접목되는 것을 목격할 수 있다. 1991년 게임 기업 세가(SEGA)는 미국 시장에 '세가VR'이라는 최초의 게임용 VR헤드셋을 선보인다. 세가VR은 게임 그래픽은 조악했지만 현재의 VR헤드셋 처럼 사용자의 머리 움직임을 게임 조작에 반영한 것이 돋보인다.

세가VR
세가VR
 

'버추얼리티(Virtuality)'라는 오락실용 VR 게임기가 등장한 것도 1990년대다. 게임기 '버추얼리티'는 사용자 머리 움직임은 물론 전용 컨트롤러와 터치 글로브 장치를 이용해 손의 움직임도 게임에 반영할 수 있었던 게임 머신이다. 초기 버전인 1000시리즈로 약 9개의 게임이, 그래픽이 더 발전된 2000시리즈로 '팩맨VR'등 약 3개의 게임이 등장했다.

오락실용 VR게임기 ‘버추얼리티'/ 위키피디아 제공
오락실용 VR게임기 ‘버추얼리티'/ 위키피디아 제공
 
버추얼리티 ‘레전드 퀘스트' 플레이 사진/ 위키피디아 제공
버추얼리티 ‘레전드 퀘스트' 플레이 사진/ 위키피디아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