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다가오는 지능정보사회 시대에 걸맞는 사이버 보안 기술력을 확보하기 위해 2017년 1003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인공지능·블록체인 등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27일 제8차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미래창조과학부, 국가정보원, 국방부, 경찰 등이 참여하는 국가 사이버 보안 연구개발(R&D) 조정협의회를 통한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기술대응 능력 확보를 추진하는 내용의 '국가 사이버 보안 R&D 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사이버 보안 기술의 발전단계 및 전망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사이버 보안 기술의 발전단계 및 전망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한국은 발전된 ICT 인프라를 바탕으로 다양한 서비스가 활성화돼 있으나, 정보보호 분야는 상대적으로 경쟁력이 미흡한 수준이다. 정부도 최근 4년간 사이버 보안 R&D 예산을 연평균 20%씩 증액했지만 선진국과의 기술 격차가 2년에 달한다.

정부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지능정보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개발에 나선다. 정부는 우선 머신러닝(기계학습)을 기반으로 시스템의 정상 상태를 스스로 학습해 탐지규칙 없이도 외부 위협을 스스로 감지하고, 보안 취약점을 자동 분석·패치하는 능동형 자가방어 기술 개발에 38억원의 예산을 배정했다.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해 지능정보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지능정보사회를 대비해 지능정보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핵심 원천기술 확보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다양한 보안위협 통합 분석을 위한 위협 연관관계 프로파일링 및 분석 정보를 공유하는 지능형 탐지·예측 기술 개발에는 28억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또 65억5000만원의 예산을 들여 정보 유출 가능성을 원천봉쇄할 수 있을 것으로 주목받는 양자암호 등 '차세대 암호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사회 현안 해결을 위한 응용기술 개발도 진행한다. 올해 대량으로 확산된 랜섬웨어와 신종 금융사기 위협 등에 대응해 랜섬웨어 방어 및 차단 기술과 블록체인 기반의 신뢰 기술, 차세대 인증 기술 개발을 위해 80억5000만원의 예산을 할당했다. 사물인터넷(IoT), 생체인식, 스마트카 등 융합 산업을 위한 산업 특화형 융합·물리보안 기술 개발에는 43억원의 예산을 투입할 예정이다.

범부처 및 민간 협력체계 구축에도 속도를 낸다. 미래부, 한국인터넷진흥원, 국정원, 국방부, 행자부, 경찰청 등으로 구성된 범부처 조정협의회와 민관 기술공유 협의체를 통해 R&D 성과공유 및 민관 R&D 협력을 강화한다. 사이버 보안 국제 공동연구 확대를 위해 35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고, 출연연 등 정보보호 연구기관의 기능이 중복되지 않도록 국가 사이버 보안 R&D 조정협의회를 통해 기관별 역할을 재정립한다는 계획이다.

범부처·민관 상호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도 추진될 예정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범부처·민관 상호 협력체계 강화를 위한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 구축도 추진될 예정이다.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김용수 미래부 정보통신정책실장은 "정보보호 기반 강화를 통해 사이버 공격에 의한 피해를 경감시키고, 산업계 글로벌 기술 경쟁력 확보를 통한 해외 진출 활성화와 신성장동력 창출이 기대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