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현지 스마트폰 업체들이 중국 업체의 공세로 시장 점유율이 떨어진다며 인도 정부에 적극적인 개입을 요구하고 나섰다.

나렌드라 반사(Narendra Bansa) 인도 스마트폰 제조업체 인덱스 테크놀로지(Intex Technologies) 설립자는 17일(현지시각) 파이낸셜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중국 스마트폰 업체는 중국 정부로부터 보조금을 받아 성장했다"며 "중국산 스마트폰에 반덤핑 관세를 매겨야 한다"고 주장했다.

 2016년 7월 중국 선전 화창베이에 중국 스마트폰 업체 오포가 입점해 있는 모습 / 조선비즈DB
2016년 7월 중국 선전 화창베이에 중국 스마트폰 업체 오포가 입점해 있는 모습 / 조선비즈DB
수바지트 센(Shubhajit Sen) 마이크로맥스(Micromax)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인도 정부가 중국만큼 보조금을 지불할 수 없다면 수입 스마트폰과 부품에 매기는 부담금이라도 증가시켜야 한다"며 "중국과 인도 스마트폰 사이의 격차를 줄여야 한다"고 말했다.

한때 인도 시장 3위였으나 중국 업체 진출로 상위 5위권에서 밀려난 카본 모바일(Karbonn Mobile) 설립자 프라딥 자인(Pradeep Jain)은 "정부가 조치를 취하지 않으면 인도 기업이 손실을 보게 되는 것은 물론 결국 정부도 손해를 입을 것"이라고 말했다.

FT에 따르면 인도 스마트폰 제조사의 고위 임원들은 최근 인도 정부 관리와 만나 이와 같은 우려를 전달했다.

중국 스마트폰 제조사는 인도에서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 카운터포인트리서치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샤오미·레노보·오포와 같은 중국 업체는 인도 스마트폰 시장의 46%를 차지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 증가한 수치다. 반면 같은 기간 동안 인도 현지 업체의 스마트폰 점유율은 54%에서 20%로 떨어졌다.

하지만 업계에는 인도 정부가 수입 규제에 나서도 인도 업체들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닐 샤(Neil Shah) 카운터포인트리서치 분석가는 "중국 기업은 인도에서 판매하는 휴대전화의 75%쯤을 인도에서 조립한다"며 "반덤핑 조치는 인도 현지 기업이 자신의 발등을 찍는 것과 마찬가지"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