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페이스북・트위터 등 미국 거대 IT 기업의 고위급 경영진이 10월 31일(현지시각) 러시아의 미국 대선 개입 의혹 관련 미 의회 청문회 증인으로 나섰다. 이들 경영진은 향후 선거 과정에서 외국의 개입이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31일 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은 미국 상원의 법사 소위원회의 청문회 증인으로 나선 IT 기업 대표가 미국 대선에 러시아가 개입하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했다고 인정했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  / 조선 DB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페이스북. / 조선 DB
페이스북은 대선 직후 '가짜 뉴스'를 퍼트린 주요 창구로 지목받아 곤욕을 치렀다. 이후 정치 관련 광고를 구매한 회원의 신원을 확인하는 등 조처를 했다.

콜린 스트레치 페이스북 대변인은 "(미 대선 과정에) 외국이 간섭했다는 것은 비난받아 마땅하다"며 "(간섭 세력에) 맞서기 위해 애쓰고 있다"고 말했다.

증인으로 나선 신 에거트 트위터 실무 고문은 "국가의 지원 속에 이뤄진 선거 조작이 트위터에서 발생했다는 문제는 향후 트위터가 헤쳐나가야 할 새로운 도전이다"라며 재발 방지를 약속했다.

이들 회사는 청문회 전 자체 조사를 진행한 결과 대선 과정에서 드러난 러시아의 영향력이 이전 발표 때보다 높았다고 발표했다. 유튜브는 러시아와 관련된 것으로 보이는 1000개 계정이 비디오를 올렸고, 인종·시리아 문제 등 미국 사회를 분열시킬 수 있는 동영상을 주로 다뤘다고 발표했다.

트위터는 2015~2017년 사이 러시아 관련 계정 2700개가 13만1000개 이상의 트윗을 했다고 발표했다. 이외에도 미국 대선 직전 3개월간 선거와 관련된 140만개의 트윗이 로봇(bots)을 통해 전파됐다고 알려졌다.

페이스북은 러시아와 관련된 계정이 2015년 1월~2017년 8월 사이 8만건 정도의 게시물을 올리며 미국 사회에 분열을 조장했다고 발표했다. 다만, 페이스북은 해당 기간 미국인이 페이스북에서 접한 게시물은 11조개 이상이므로, 이와 비교하면 러시아와 관련된 게시물은 소량에 불과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페이스북의 자회사 인스타그램에도 러시아와 관련된 계정 170개가 12만개 이상의 게시물을 올린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페이스북과 트위터는 청문회를 앞두고 선거 관련 광고를 집행하는 광고주의 신원을 확인하는 등 정치 광고를 엄격하게 집행하겠다는 광고 정책을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