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R&D센터는 LG전자 주방가전의 '브레인'이 총집결한 곳이다. 단순히 새로운 연구소가 아니다. 냉장고, 오븐, 정수기, 식기세척기 등 제품군별로 흩어진 주방가전 R&D 조직을 한데 모으고 시너지를 내기 위해 지은 최첨단 기지다.

6일 오전 10시, 서울역에서 KTX를 타고 내려와 오후 1시쯤 다시 30분을 버스로 이동해 도착한 장소는 경남 창원에 있는 LG 창원R&D센터였다. 쌀쌀한 날씨에도 LG전자의 글로벌 주방가전 시장 공략을 위한 고민의 흔적을 엿보기 위해 74명의 취재진이 참석했다.

최초로 공개하는 창원R&D센터 내·외부는 촬영을 금지하는 등 철통보안으로 꽁꽁묶여있어 사진으로 담을 수 없었다. 하지만 현지 직원의 입으로 전해듣는 생생한 소개와 현장 분위기는 연구원 1500명의 열정과 창의력이 실제로 한데 모여있음을 체감할 수 있었다.

LG전자 창원R&D센터 전경. / LG전자 제공
LG전자 창원R&D센터 전경. / LG전자 제공
◆ 연구조직, 창원R&D센터로 응집…R&D 효율 극대화

LG전자는 2015년 3월 창원R&D센터를 착공해 2년 반 만인 10월 26일 완공했다. 연면적 5만1000㎡(1만5427평)에 지하 2층, 지상 20층 규모다. 창원국가산업단지 내 연구시설로는 가장 크며 연구원은 1500명쯤이 근무한다.

창원R&D센터는 LG전자의 새로운 주방가전 제품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곳으로 여기서 개발된 제품은 전 세계 170개국에 공급된다.

창원R&D센터 연구원은 국가별 혹은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를 갖는 주방 공간, 고객이 주방 공간에서 가전제품을 사용하는 패턴, 다양한 융복합 기술 등을 연구한다. 각 제품이 전달하는 고객 가치를 넘어 제품을 실제로 사용하는 '주방 공간'의 관점에서 고객에게 더 큰 가치를 전달한다는 LG전자 생활가전의 철학을 반영한다.

◆ 세계최고 수준 R&D 인프라…750개 시료 구축·3D 프린터 모형 제작

세계최고 수준의 R&D 인프라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먼저 지하 1·2층에 위치한 시료보관실로 향했다. 냉장고, 오븐, 식기세척기 등 주방가전의 시료들이 빼곡히 들어서 있었다. 일반적으로 대형 건물 지하에 주차장이나 기계실이 자리 잡은 것과 비교하면 이색적인 위치였다.

현장 직원에 따르면 지하 1·2층 시료 보관실은 총 2440㎡(738평) 규모로 750대의 시료를 보관할 수 있다. 창원R&D센터 개관으로 시료 보관 규모는 기존 대비 50% 더 커졌다. 연구원이 1500명인 점을 감안하면 상당한 규모라는 설명이다.

현장 한 직원은 "이곳은 연구원에게 도서관과 같은 곳이다"라며 "최근 개발된 1년 이내 제품만 비치하고 출시되지 않은 개발 단계 모델도 있다"고 말했다.

특히 송대현 생활가전(H&A)사업본부장(사장)은 기자간담회에서 이곳에서 경쟁사 제품 샘플을 분석한다고 언급했다.

송 사장은 "(경쟁사들이) 어떤 기술로 고객에게 가치를 전달하고 어떤 고민을 했는지 파악하기 위해 (샘플을) 가져오기도 한다"고 말했다.

LG전자의 앞선 R&D 수준을 자세히 보여주는 곳은 3D 프린터실이다. 건물 4층에는 비싼 가격으로 보이는 3D 프린터 4대가 쉼없이 움직였다. 2대는 액화한 플라스틱을 판 위에 흘려 특정 형태로 층을 쌓는 방식, 2대는 자외선을 사용해 플라스틱을 원하는 모양으로 깎아 층을 쌓는 방식이다.

창원R&D센터에서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부품 모형 중 80%쯤은 이곳에서 생산한다. 실제 부품 대비로도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오차가 발생한다는 설명이다.

가격은 큰 제품이 각 8억원, 작은 제품은 각 7000만원 수준으로 3D 프린터가 2개, 그보다 작은 프린터가 2개 놓여 있다.

현장 한 직원은 " 2014년부터 이 3D 프린터를 활용해 모형 부품을 제작했다"며 "기존에는 외주를 통해 제작해 비용과 시간, 보안 문제가 있었지만 도입 이후 모형 제작 시간은 30%쯤 줄었고 제작 비용도 연간 7억원 줄였다"고 말했다.

LG전자 연구원이 수비드 요리법이 적용된 ‘프로베이크 컨벡션(ProBake Convection)’ 오븐을 사용해 음식을 조리하고 있다. / LG전자 제공
LG전자 연구원이 수비드 요리법이 적용된 ‘프로베이크 컨벡션(ProBake Convection)’ 오븐을 사용해 음식을 조리하고 있다. / LG전자 제공
14층에서는 요리개발실(글로벌 쿠킹 랩)이 소개됐다. LG전자가 출시한 '디오스 광파오븐'은 이곳에서 개발된 여러 가지 레시피를 탑재하고 있다.

송승걸 LG전자 쿠킹·빌트인BD 담당(전무)에 따르면 제품이 기본으로 탑재한 130개 조리 코스 외에 스마트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내려 받을 수 있는 142개 코스를 추가하면 누구나 총 272가지의 요리가 가능하다.

최근에는 저온에서 음식을 밀폐시켜 익히는 '수비드(sous-vide)' 조리 방식을 적용시킨 빌트인 오븐도 출시했다.

이고은 LG전자 쿠킹·빌트인 선임은 "전 세계의 다양한 메뉴를 개발 중이며, 중동·아프리카 등 생소한 지역 메뉴를 개발하기 위해 이태원을 방문한 적도 있다"며 "맛·외관·레시피·조리시간 등에서 경쟁사 대비 높은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을 지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 '감성 품질' 높이는 워터 소믈리에·레시피 전문가·김치 연구가

LG전자는 주방가전이 고객의 식생활과 직결된다는 점을 착안해 제품 성능뿐 아니라 감성 품질을 높이는 데에도 노력하고 있다. 실제 R&D센터에는 워터 소믈리에, 요리 레시피 연구원, 김치 유산균 연구원 등 이색 업무 연구원들이 근무하는데 이들과 만나는 자리도 마련됐다.

이병기 선임연구원은 한국수자원공사가 자격을 인정한 물 감별 전문가다. LG전자 정수기BD(Business Division) 정수기QE(Quality Engineering)파트에서 근무하며 정수기에서 나오는 물의 맛과 품질을 평가하는 업무를 맡는다.

이 연구원은 정수기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물맛이나 냄새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하고 수질과 관련한 불만이나 문의가 들어오면 직접 고객을 찾아가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설명해줘야한다고 설명했다. 다만 글로벌 고객의 경우 물맛을 느끼는 기준이 달라 이 부분을 고민하고 있다고 언급했다.

이 연구원은 "외국인은 한국의 생수를 심심하다고 느끼는 반면 한국은 해외 생수를 쓰고 떫은 것으로 느낀다"며 "정수기 및 정수기 냉장고의 글로벌 진출을 위해 수질 및 물 맛 감별을 위해 여러 가지 검토를 진행 중이다"고 말했다.

이외 박소영 쿠킹·빌트인신뢰성QE팀 선임연구원은 글로벌 고객들의 다양한 입맛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세계 각국의 조리법을 연구하고 있다고 전했다. 김은정 냉장고RD·ED(Research/Engineering Division) 책임연구원은 김치 맛을 전담해서 연구하는 김치의 달인으로 소개됐다. 디오스 김치냉장고 고유 기능인 'New 유산균김치+'는 김 연구원의 작품임을 알게 됐다.

◆ '모듈러 디자인 기반' 창원 스마트공장과 시너지 기대

LG전자는 2023년까지 6000억원을 투입해 창원1사업장을 스마트 공장으로 재건축할 방침이다. 이에 창원1사업장은 공정의 모듈화, 지능형 자율 생산 등 세계 최고 수준의 생산기술과 품질 경쟁력을 갖추게 된다.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이 6일 경남 창원에 위치한 LG전자 창원R&D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송승걸 LG전자 쿠킹·빌트인BD담당(전무), 송대현 H&A사업본부장(사장), 박영일 키친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부사장). / LG전자 제공
송대현 LG전자 H&A사업본부장(사장)이 6일 경남 창원에 위치한 LG전자 창원R&D센터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사업 전략을 발표하고 있다. (왼쪽부터)송승걸 LG전자 쿠킹·빌트인BD담당(전무), 송대현 H&A사업본부장(사장), 박영일 키친어플라이언스사업부장(부사장). / LG전자 제공
스마트 공장의 통합 생산 시스템은 제품의 주요 부품을 몇 가지의 패키지로 구성하고 서로 다른 모듈들을 조합해 여러 종류의 모델을 만드는 '모듈러 디자인'을 기반으로 한다. 창원R&D센터는 제품 기획, 개발 단계에서 스마트 공장의 '모듈러 디자인' 전략을 대폭 강화하는 역할을 맡는다.

송대현 사장은 간담회를 통해 창원R&D센터가 창원1사업장이 스마트 공장으로 변화하는 첫 단추를 끼웠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연신 강조했다.

송 사장은 "창원R&D센터는 1500명 연구원이 창의력을 모두 발휘할 수 있는 곳이다"라며 "자부심을 갖고 마음껏 연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송 사장은 또 "창원R&D센터는 주방가전 제품 간 시너지를 보다 강화하고 미래 사업을 준비하는 전진기지다"라며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개발 인프라를 바탕으로 글로벌 주방가전 시장을 선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