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스마트시티를 구축하기 위해 파격적인 실험을 한다. 그 중심에는 가상화폐(암호화폐)가 핵심으로 도입된다.

특히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로 선정된 세종시에서는 개인정보 제공에 동의한 거주자에게 세종시 내에서 사용할 수 있는 전용 가상화폐를 기본소득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Array
정부세종청사를 중심으로 한 세종특별자치시. / 조선DB
정부세종청사를 중심으로 한 세종특별자치시. / 조선DB
16일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와 국토교통부는 상암 DMC 첨단산업센터에서 이 같은 내용의 스마트시티 국가시범도시 기본 구상을 발표했다.

발표에는 지난 1월말 위원회가 세종 5-1 생활권과 부산 에코델타시티를 시범도시로 지정한 데 이어 도시의 기본적인 콘셉트와 계획을 담고 있다.

특히 발표 중 가장 큰 특징은 세종 스마트시티 도시 전체를 4차 산업혁명의 '리빙랩'(사회문제를 정보기술로 해결하는 실험)으로 만드는데 있다.

이를 기반해 시민들로부터 개인정보를 제공받는 대신 전용 가상화폐 격인 '세종코인'을 노동과 무관한 기본소득으로 제공한다. 수집된 개인정보는 개인을 특정할 수 없는 ‘블록체인’ 기술을 적용해 관공서를 비롯해 스마트시티에 입주한 각 기업이 이용하게 된다.

스마트시티 구축 위원회는 블록체인 활성화와 지역상권에도 적지 않은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가상화폐 도입 외에 세종시에서는 수소연료자동차·전기자동차·자율주행차 등 미래형 자동차가 결집한 여의도 크기의 공유자동차 도시가 들어선다. 특히 개인차량은 생활권 진입 입구에 주차하고 내부는 자율차, 공유차, 자전거만 운행하도록 한다는 구상이다.

5G 통신망을 통해 교통정보를 수집하고 AI(인공지능)로 분석해 교통흐름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이 구축된다. 여기에 드론과 IoT(사물인터넷)을 활용한 응급의료시스템, 개인 맞춤형 의료서비스 등 디지털 헬스케어 실험도 이뤄진다.

세종 부산에 조성되는 스마트 시티 관련 내용. / 국토교통부 제공
세종 부산에 조성되는 스마트 시티 관련 내용. / 국토교통부 제공
부산 스마트시티인 에코델타시티 역시 스타트업과 중소기업들이 첨단 기술을 자유롭게 연구개발 하고 기술을 실증하는 '테크 샌드박스' 방식으로 추진된다.

친환경 물 특화도시가 목표다. 첨단 기술을 이용해 수자원을 관리하고 하천 관련 재해를 예방하는 한국형 물순환 도시 모델을 조성하고 도시개발 과정에는 VR(가상현실), AR(증강현실), BIM(빌딩정보모델링) 등 최신 기법을 적용한다. 수자원공사가 도시 조성에 들이는 사업비만 1조원 규모다.

또한 정부는 기술개발과 적용에 그치지 않고 규제개선, 예산지원, R&D 연계, 벤처·스타트업 참여 지원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한다. 국회에 계류된 스마트도시법 개정안이 연내에 통과되도록 하고, 도시개발, 신기술 사업화 등과 관련한 각종 규제를 푸는 데 속도를 낼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