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23일 투신 사망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사회적으로 충격을 주고 있다. 이번 노 원내대표 투신 사망은 드루킹 수사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 파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서울중부경찰서는 이날 오전 9시 38분, 노 원내대표가 자택인 한 아파트 현관 앞에서 숨진 채 쓰러져 있는 것을 경비원이 발견해 신고했다고 밝혔다. 경찰은 당시 아파트 17~18층 계단 사이에 노 원내대표의 외투와 신분증, 유서를 찾았다.

23일 오전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투신한 서울 중구 N아파트 1층 현관 앞 사진. / 조선DB
23일 오전 노회찬 정의당 원내대표가 투신한 서울 중구 N아파트 1층 현관 앞 사진. / 조선DB
이날 경찰 관계자는 "유서에 드루킹 관련 금전을 받은 사실은 있으나 청탁과는 관련이 없다는 내용과 함께, 가족, 특히 부인에게 미안하다는 내용이 담겨 있다"고 전했다.

◇ 드루킹이 뭐길래? 정치권 시끌벅적

이미 드루킹 댓글 조작 문제는 사회적 이슈로 급부상해 관련 수사가 계속 진행 중이다. 앞서 허익범 특별검사팀은 ‘드루킹’ 김동원 씨로부터 노 원내대표에게 불법 정치자금을 줬다는 진술을 받아낸 것으로 알려졌다.

드루킹 댓글 조작은 친노 친문 파워블로거이자 경제적공진화모임(경공모) 대표인 김동원 씨를 비롯한 경공모 회원이자, 더불어민주당 권리당원들이 인터넷에서 각종 여론조작을 했다는 혐의 및 의혹이 불거진 사건이다.

드루킹 사건은 김동원 씨가 ‘드루킹’이란 닉네임을 쓰게 된 것은 유명 온라인 게임 ‘월드 오브 워크래프트(WoW·와우)’에 나오는 ‘드루이드(고대 유럽의 마법사)’에서 따온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드루이드. / 블리자드 제공
월드오브워크래프트 드루이드. / 블리자드 제공
드루킹은 '드루이드의 왕(king)'이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김 씨는 2010년 7월 지인에게 보낸 트위터 메시지에서 "와우를 안 한 지 십만 년인데 어떤 캐릭터로 하시나요. 저는 사냥꾼과 드루이드(를 합니다). 그러니 드루킹"이라고 발언하기도 했다.

노 원내대표와 드루킹 일당의 유착설이 수면 위로 떠오른 것은 2016년이다. 드루킹 김 씨는 2016년 3월 노 의원에게 현금 5000만원을 주려한 혐의로 수사를 받았지만, 당시 검찰 수사에서 무혐의로 종결됐다.

드루킹 사건을 수사하는 허익범 특별검사팀은 최근 검찰이 당시 김 씨 측으로부터 위조된 증거를 제출받아 이를 토대로 무혐의 결정을 내린 것으로 보고, 이 사건에 대해 재수사를 했다.

드루킹 측이 자금출납자료 등을 위조해 선거관리위원회 등에 제출했고, 특검팀은 김씨가 경공모 회원들에게 ‘선관위 등에서 조사하고 있으니 돈을 다시 입금해놓아야 한다’고 말한 사실 등을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 드루킹 인터넷 기업까지 기반 흔들

드루킹 사건은 이미 인터넷 기업의 기반까지 흔들기도 했다.

각종 포털 정치 뉴스에 댓글을 조작해 여론몰이를 했고, 인터넷 기업들은 댓글 조작을 막지 못했다는 이유에서 맹비난을 받게 됐다.

국내 인터넷 포털 시장에서 독점적 영향력을 행사해 온 네이버는 ‘드루킹 뉴스 매크로 댓글 여론 조작' 사건의 여파로 신뢰도가 크게 하락했다. 국회 등 정치권에서는 여론 조작 문제를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를 내며 공동 입법 작업도 착수한 상태다.

특히 네이버를 향한 비난 여론이 거세지면서 댓글 서비스를 폐지하자는 목소리도 나오기도 했다. 이에 네이버는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놓고, 댓글정책이용자포럼을 구성해 댓글 폐지를 포함해 뉴스 서비스 개선안을 논의해 발표했다.

당시 네이버는 공식 블로그를 통해 네이버 뉴스 댓글 게시판 서비스의 개선 방향성을 발표했다. 네이버는 6월 말부터 뉴스 댓글 게시판에 동일 댓글을 반복해 등록하는 복붙(복사해서 붙여넣기) 행위를 제한했다.

네이버 사옥. / 네이버 제공
네이버 사옥. / 네이버 제공
또한, 전화번호 하나에 아이디를 3개씩 만들 수 있는 점을 악용하지 못하도록 했고, 기사당 댓글 작성 수 3개로 제한했다. 공감·비공감 참여도 현행 50개의 한도에서 하나의 전화번호에 귀속된 계정에 합산해 적용하기로 했다. 여기에 정치 관련 기사 댓글 비노출과 최신순 댓글 정렬 방식을 모든 섹션 기사의 댓글 게시판에 확대해 적용했다.

트위터와 페이스북 등 사회관계망서비스(SNS)의 아이디를 이용한 댓글 참여도 제한했고, ‘신고하기' 버튼도 재도입했다. 예전에는 ‘접기 요청' 버튼이 많은 댓글은 가려지도록 했지만, 드루킹 사건 이후 ‘신고하기' 버튼을 통해 문제가 있는 댓글은 더 빠르게 처리되도록 했다.

이외에도 이용자가 선택한 특정 댓글 작성자의 댓글 모두를 보이지 않게 차단하는 기능도 조만간 도입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