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50년 무노조 경영을 이어온 포스코가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의 복수 노조체제에 돌입한다.

포스코지회는 16일 설립 총회에서 금속노조 지회 모범 규칙을 기반으로 지회 규칙을 제정하고 광양·포항을 묶는 지도부 5명을 선출했다. 이들은 포스코 광양·포항 공장을 아우르는 통합 지도부인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 대치동 포스코 본사. /조선일보 DB
서울 대치동 포스코 본사. /조선일보 DB
한대정 포스코지회장은 "포스코의 무노조 경영 50년은 경영 감시 없이 회사의 독선과 독주를 견제하지 못했다"며 "끊이지 않는 산업재해 은폐, 상사의 억압과 회사의 갑질을 참았던 분노가 폭발해 노조를 결성했다"고 말했다.

금속노조 한 관계자는 "무노조는 노동조합이 없다는 의미가 아니다. 노동조합이 생기지 않도록 회사는 그 어떤 대가나 비용도 마다하지 않는 것이 무노조다"라며 "분노가 쌓이고 뭉쳐 폭발한 것이 바로 금속노조 포스코지회다"라고 설명했다.

한국노총 산하 전국금속노조도 포스코 기존 노조의 재건을 알렸다. 금속노조 산하 포스코지회와 달리 한국노총 노조는 기존 포스코 노경위원회를 재건할 계획이다.

한국노총은 17일 여의도 한국노총 회의실에서 ‘포스코 노동조합 재건 추진위원회 발족’ 기자회견을 열고 노조 조직화를 선언했다.

한국노총 한 관계자는 "포스코 노동조합이 사측에 빼앗긴 노동 3권을 쟁취하고 정경유착·부실경영의 고리를 끊고 국민기업 포스코를 되찾기 위해 환골탈태가 필요하다"며 "포스코 노조는 지난 과거를 반성하고 혁신을 통해 새로 태어나겠다"고 강조했다.

포스코에는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와 한국노총이 재건할 노조 등 복수노조가 생긴다. 산별노조 산하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의 교섭권은 산별노조가 갖지만 단위노조인 한국노총 포스코지회는 독자적으로 교섭권을 행사할 수 있다.

국내 대표적인 무노조 경영 기업으로 불린 포스코는 포항제철 시절인 1988년 한국노총 소속 노조가 설립된 이후 가입자가 1만명이 넘는 거대 노조가 됐지만, 노조 간부의 금품수수 사건 이후 도덕성 논란과 함께 조합원 탈퇴가 이어졌다. 현재 포스코 노조원 수는 전체 포스코 직원 1만7000명 중 10명 내외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