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으면 스마트폰, 펼치면 태블릿처럼 쓸 수 있는 ‘폴더블폰'의 등장이 가시화되면서 액정표시장치(LCD)에 이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시장까지 선점한 국내 디스플레이 업계에 활력이 살아난다.

폴더블, 롤러블 등 차세대 OLED 디스플레이 활용 이미지. /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폴더블, 롤러블 등 차세대 OLED 디스플레이 활용 이미지. / 삼성디스플레이 제공
삼성전자는 최근 폴더블픈에 채택한 ‘인피니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공개하고, 2019년 상반기 중 100만대 이상 양산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벌써부터 롤러블, 투명 디스플레이 등 폴더블 이후 차세대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뜨겁다.

차세대 디스플레이를 활용한 새로운 폼팩터의 신제품 등장은 LCD 물량공세 이후 OLED 시장까지 넘보기 시작한 중국의 추격을 따돌리는 데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현재 OLED 기술이 주류를 형성하고 있다. 플렉서블 OLED는 유리 기판이 아닌 플라스틱 소재인 폴리이미드(PI)를 기판으로 써 깨지지 않고 유연한 특성을 지닌다. 플렉서블 OLED를 완만하게 구부리면 커브드 디스플레이가 되고, 양쪽 끝만 살짝 구부리면 밴디드 디스플레이가 된다. 이미 상용화된 커브드 TV, 모니터나 삼성 갤럭시 스마트폰에 적용된 엣지 디스플레이가 대표적인 예다.

삼성전자가 폴더블폰에 적용하는 폴더블 OLED는 디스플레이가 거의 완전히 접힌다는 점에서 플렉서블보다 한 단계 진화한 디스플레이다. 어떤 물체든 완전히 접었다 펴면 자국이 생기기 때문에 원래 모습으로 돌아오는 것이 거의 불가능한데, 폴더블폰의 상용화는 이러한 한계를 극복했음을 의미한다. 특정 재료에 압축, 인장, 굽힘, 비틀림 등의 하중을 가했을 때 그 크기에 대응해 재료 내에 생기는 저항력을 ‘응력'이라 하는데, 폴더블 OLED는 응력이 낮은 소재를 활용해 패널 손상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여기서 한발 더 나아가면 디스플레이를 두루마리처럼 둘둘 말 수 있는 롤러블 OLED로 이어진다. 폴더블이 접히는 부분의 응력만 고려한다면, 롤러블은 패널 전체에 걸쳐 이를 고려해야 한다.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는 올해 CES, SID 등 글로벌 전시회에서 이미 상용화 가능한 수준의 롤러블 OLED를 선보인 바 있다. 아직은 세트 제조사를 통한 구체적인 활용 제품을 논의하는 단계지만, 폴더블폰 상용화 이후 시장 반응에 따라서는 롤러블 OLED를 활용한 제품이 빠르게 등장할 가능성도 충분히 있다.

LG디스플레이가 선보인 롤러블 시제품에서 말려 있던 디스플레이가 펼쳐져 나오고 있다. / LG디스플레이 제공
LG디스플레이가 선보인 롤러블 시제품에서 말려 있던 디스플레이가 펼쳐져 나오고 있다. / LG디스플레이 제공
폴더블과 롤러블 OLED는 한 방향으로만 변형이 가능하지만, 두 방향 이상으로 늘리거나 줄일 수 있는 스트레처블 OLED는 구현 난도가 훨씬 높아 업계에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의 종착점으로 불린다.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 최대 12밀리미터(㎜) 깊이로 화면이 늘어나면서도 기존 화질을 그대로 유지하는 스트레처블 OLED를 선보인 바 있다. LG디스플레이도 고려대와 컨소시엄을 이뤄 스트레처블 OLED 원천기술 확보를 위한 국책과제 주관사로 선정된 바 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IHS마킷에 따르면, 폴더블 OLED 패널 출하량은 올해 20만대로 시작해 2019년 140만대로 증가한 후 2025년에 이르면 5050만대로 연평균 500%가 넘는 성장세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폴더블폰 또한 2019년 200만대, 2020년 2000만대, 2021년 3500만대로 매년 큰 폭으로 세를 불릴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