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벤처부와 서울시가 추진하고 오는 12월 17일 시행 예정인 제로페이(소공상인 간편결제) 시범서비스가 시작도 전부터 삐걱거리고 있다. 카카오페이가 시범사업 참여 불가를 선언한데 이어 토스마저도 시범사업에서 빠지기로 결정했기 때문이다. 업계는 제로페이 시범사업 이탈 사업자가 추가로 발생할 것으로 예견하고 제로페이 사업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서울시 청사에 걸린 시범사업 가맹점 모집 안내. / IT조선
서울시 청사에 걸린 시범사업 가맹점 모집 안내. / IT조선
29일 토스를 운영하는 비바리퍼블리카에 따르면 11월 27일 서울시와 중소기업벤처부에 제로페이 시범사업에 참가하지 않겠다는 의사를 전했다. 또 이는 연동작업에 필요한 개발 시간이 부족하지만 가장 큰 이유는 충전방식 때문이다.

토스는 사용자가 미리 충전해 놓은 토스머니를 이용해야 한다. 하지만 중기부는 이 같이 사업자가 기존에 구축해 놓은 충전 시스템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은행계좌에 예치된 돈으로만 결제가 가능하도록 했다. 즉, 소비자는 기존 선불 머니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또 토스 입장에서는 제로페이 전용 결제 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해야 하는 셈이다.

비바리퍼블리카는 이 과정에서 연동 개발을 다시해야 한다. 시범사업 시행이 보름여만 남아있는 상황에서 물리적인 시간이 부족하다는 판단을 내린 이유다.

이는 다른 사업자들도 마찬가지다. 네이버 등 대형 사업자도 제로페이 연동 개발에 착수했지만 시범사업 기간에 맞춰 오픈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는 것이 업계 분석이다. 토스와 같이 이를 이유로 사업자 이탈이 발생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여기에 충전수수료 문제도 해결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은행은 선불 충전 관련 수수료를 그대로 부과하겠다는 입장이다. 결국 간편결제 사업자가 건당 충전 수수료를 은행에 고스란히 내야 한다.

앞서 카카오페이는 시범사업 참여를 막판까지 고민하다 포기했다. 카카오페이는 제로페이 시행을 위해 태스크포스(TF)에 참여하는 등 가장 열심히 협력했던 업체로 알려졌다. 그런 카카오페이가 불참을 선언하자 업계는 당황하기도 했다. 이 역시 카카오페이는 기존에 구축했던 15만개 오프라인 결제 가맹점과 2500만명에 달하는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끼칠 수 밖에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카카오페이 관계자는 "기존 사업과 병행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여부가 명확하지 않아 시범사업에 불참하게 됐다"며 "향후 모든 가능성은 열어두고 있다"고 밝혔다.

BC카드 역시 서울시 계좌이체 방식은 BC카드의 구상과 다르다는 이유로 사업에 불참을 선언했다.

업계 한 관계자는 "업계에서는 관제페이라는 비아냥도 나온다"며 "제로페이 핵심 사업자가 대거 이탈하거나 형식적으로 참여해 시범 사업이 제대로 시행될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우려를 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