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금융권에서는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 구축이 화두다. 하지만 생명보험업계는 블록체인 사업자를 선정하고도 6개월 넘게 사업을 진척시키지 못하고 있어 그 배경에 관심이 쏠린다. 본인임을 인증하는 공인인증서 발급 주체를 아직 결정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30일 생명보험협회 관계자는 "협회사와 이견을 조율 중이다"라며 "애초 올해 안에 마무리하려던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시기를 2019년으로 늦추려고 한다"고 말했다.

생명보험협회와 생명보험사는 2018년 4월 블록체인 컨소시엄을 구성했다. 이들은 5월 20일 '생명보험업권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및 블록체인 기반 혁신과제 구현 사업' 우선 사업자로 삼성SDS를 선정했다. 하지만 이들은 이후 6개월 동안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과 관련한 주요 사안을 마련하지 못했다.

생명보험협회 이미지. /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 갈무리
생명보험협회 이미지. / 생명보험협회 홈페이지 갈무리
생명보험업계가 공동으로 블록체인 플랫폼을 구축할 경우 생명보험 가입자는 본인을 증명할 수 있는 공인인증서와 생체 인식 정보 등을 이용해 로그인 해야 한다. 은행, 증권업계와 달리 생명보험업계에선 지금까지 공인인증서가 필요 없었다.

이 때문에 공인인증서 발급 주체를 놓고 접점을 찾는데 시일이 걸리는 것이다. 공인인증서를 생명보험협회가 발급할지, 생명보험사가 각각 발급하는지에 따라 부담해야 할 비용에 차이가 발생한다.

생명보험사들은 생명보험협회가 공인인증서 등 인증서비스를 총괄해 구축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반면, 우선 사업자로 선정된 삼성SDS는 생명보험사가 각각 공인인증서를 발급하는 방식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블록체인 플랫폼 사업을 진행한 은행연합회에선 이 방식을 사용한다.

한 보험사 관계자는 "생명보험사가 개별적으로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경우 인증 수수료를 블록체인 플랫폼 구축 회사에 각자 내야 해 비용 부담이 늘어난다"며 "애초 설정한 예산에 맞춰 프로젝트를 진행하려고 했으나, 추가로 비용이 들어갈 경우 반발이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생명보험협회 관계자는 "생명보험협회가 공동으로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경우 장애 발생 시 관리 부담이 늘어나는 반면, 생명보험 회원사 각각이 공인인증서를 발급할 경우에는 비용이 더 들어간다"며 "협회에서 발급할 경우 장애가 났을 때 대응할 수 있는 솔루션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협회 관계자는 "지금까지 생명보험업계에선 공인인증서를 필요로 하지 않았다"며 "보험 업계에서 공인인증서를 신규로 도입을 하려고 하는 과정에서 안정적 운영 방안을 놓고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