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는 25일부터 29일까지 5일간 라오스 비엔티안,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에 한국 중소기업 10개 업체로 구성된 시장개척단을 파견했다고 30일 밝혔다. 시장개척단은 현지 유력 바이어와 350억원 규모의 수출상담회를 진행했다.

시장개척단에 참여한 중소기업은 비엔티안에서 80건(1682만달러·188억원), 쿠알라룸푸르에서 53건(1533만달러·172억원) 등 총 133건, 3215만달러(360억원) 규모의 수출상담을 진행했다. 향후 198만달러(22억원) 규모의 수출계약이 예상된다는 것이 중소기업중앙회 측 설명이다.
이번 파견은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중국 대체시장 진출수요에 대응하고자 내년도 타결 예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참여국인 라오스와 말레이시아로 이뤄졌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라오스는 최근 6% 이상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이어가는 시장 잠재력을 가진 곳이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내 명목·1인당 GDP 모두 상위 세 번째 경제 규모로 매년 평균 5% 이상의 고성장을 기록 중이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통상산업본부장은 "이번 라오스, 말레이시아 시장개척단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소기업의 대중 수출 타격을 최소화하면서 동남아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파견했다"며 "한류문화 확산으로 한국 제품 선호도가 높은 동남아지역에 우리 중소기업이 한-ASEAN FTA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파견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이번 파견은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중소기업의 중국 대체시장 진출수요에 대응하고자 내년도 타결 예정인 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RCEP)의 참여국인 라오스와 말레이시아로 이뤄졌다.
중소기업중앙회에 따르면 라오스는 최근 6% 이상의 국내총생산(GDP) 성장을 이어가는 시장 잠재력을 가진 곳이다. 말레이시아는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 내 명목·1인당 GDP 모두 상위 세 번째 경제 규모로 매년 평균 5% 이상의 고성장을 기록 중이다.
김경만 중기중앙회 통상산업본부장은 "이번 라오스, 말레이시아 시장개척단은 미-중 무역분쟁에 따른 중소기업의 대중 수출 타격을 최소화하면서 동남아 시장 진출의 발판을 마련하고자 파견했다"며 "한류문화 확산으로 한국 제품 선호도가 높은 동남아지역에 우리 중소기업이 한-ASEAN FTA를 전략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파견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