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와 경찰청은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NIA)에서 주관한 2018 빅데이터 플래그십 선도사업에 참가해 ‘불법촬영 등 범죄위험도 분석을 통한 디지털 성범죄 예방서비스’를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개발된 서비스는 경찰의 일선 단속현장에 적용된다.

NIA가 진행한 빅데이터 플래그십 선도사업은 환경, 안전, 교통 등 분야에서 빅데이터 선도 성공사례 발굴 및 전파로 사회현안 해결을 위해 진행됐다. KT와 경찰청 컨소시엄은 2018년 4월부터 프로젝트를 진행해 결실을 맺었다.

경찰 지하철 순찰 모습. / KT 제공
경찰 지하철 순찰 모습. / KT 제공
디지털 성범죄 예방 서비스는 경찰청의 과거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와 KT의 통신 유동인구 및 공공 데이터 기반의 빅데이터를 분석해 지하철 노선, 역, 출구 별 디지털 성범죄 발생위험도 지표를 개발해 적용했다. 프로젝트에는 2017년부터 2018년까지 지하철역에서 발생한 디지털 성범죄 데이터와 서울 및 수도권 지하철역 유동인구 데이터, 상업·주거·오피스·기타 등으로 구분한 배후지 데이터, 지하철 노선 데이터가 활용됐다.

이 서비스는 경찰청 과학수사관리관실에서 운영 중인 지리적 프로파일링 시스템인 ‘지오프로스’에 탑재됐다. 경찰은 과거 범죄 발생 시점의 데이터와 유사한 조건의 지역에 대한 위험도 정보를 5등급으로 분류해 확인할 수 있다. 또 지역·노선별 디지털 성범죄 발생 위험도 기반 순찰지역 추천 기능을 불법촬영 단속 업무 노선 추천, 단속 시간 및 지역 결정, 불법촬영 예방 캠페인 지역 선정 등의 업무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번 빅데이터 분석 결과 지하철 불법촬영 범죄는 계절로는 여름철, 시간대로는 평일 출퇴근 시간, 장소로는 상업지역과 오피스 지역에서 발생 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타 연령 대비 20대 여성이 많은 지역에서 범죄 발생률이 높아지는데, 20대 여성의 유동인구 비율이 14% 이상인 구간에서 발생한 범죄가 66%를 차지했다.

경찰청은 국민이 디지털 성범죄 발생위험도 지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행정안전부에서 제공하는 생활안전지도 서비스에 탑재할 계획이다. 이를 별도 웹사이트를 통해 제공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KT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 NIA, 경찰청과 함께 본 사업 추진 결과를 바탕으로 여러 종류 범죄에 대한 빅데이터 분석으로 국민안전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은 "디지털 성범죄 예방서비스는 실제 경찰관의 단속 업무에 빅데이터를 활용한 의미 있는 사례다"라며 "향후에도 경찰청과 협력을 통해 빅데이터로 사회, 경제적 피해를 줄이는데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KT디지털범죄예방 #빅데이터 #불법촬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