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빅데이터 기술이 서울시 교통주택정책과 인구정책에 반영된다. KT와 서울시는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통근·통학인구 통계 서비스를 공동 개발해 서울 시민의 행복수준을 높인다.

KT는 서울특별시, 한국교통연구원과 손잡고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통근·통학인구 통계 서비스’ 개발 업무 협약(MOU)을 체결했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서울 시청에서 진행된 업무 협약식에는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 김주영 한국교통연구원 교통빅데이터 본부장이 참석했다.

1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통근·통학인구 통계 서비스’ 개발 업무 협약식이 진행됐다. 왼쪽부터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 김주영 한국교통연구원 교통빅데이터 본부장. / KT 제공
16일 오전 서울시청에서 ‘통근·통학인구 통계 서비스’ 개발 업무 협약식이 진행됐다. 왼쪽부터 김태균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 김주영 한국교통연구원 교통빅데이터 본부장. / KT 제공
통근∙통학인구 데이터는 12세 이상 인구가 거주지, 직장, 학교 등 정기적으로 방문하는 장소의 출발지와 도착지, 소요시간을 기록한 데이터다. 기존 대중교통이용(지하철, 버스) 데이터는 자택에서 회사∙학교에 가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의 정확한 측정이 불가능하고 도보, 승용차, 택시 등을 이용하는 통근∙통학자는 누락되는 한계를 지녔다.

자택에서 대중교통 탑승까지 시간과 하차 후 도착지까지 소요되는 시간을 LTE 시그널 데이터를 이용해 보완하면 소지역(교통폴리곤) 단위로 인구 규모와 소요시간을 산출할 수 있다. KT는 시그널 데이터와 서울시의 공공 빅데이터(대중교통 이용데이터, 인구·사업체 센서스 자료)를 통근 통학인구 규모와 소요시간 산출해 알고리즘을 개발하고 산출되는 데이터를 서울시에 공급하는 역할을 맡았다.

KT와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이 공동 개발하는 통근·통학인구 통계 서비스는 출∙퇴근 시간대 특정 지역 및 구간에 대한 혼잡 원인을 진단하고 대응책을 마련한다. 직장과 주거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도시 공간구조의 개선도 가능할 전망이다. 향후 서울시의 교통주택정책과 인구정책 등에 반영돼 서울시민의 행복수준을 높이기 위해 활용될 예정이다.

연구개발 결과물에 대한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인구∙통계∙공간∙빅데이터∙민간활용 분야의 외부전문가가 포함된 통근∙통학인구 데이터 공동개발 협의체를 구성해 연구도 진행한다.

윤혜정 KT 빅데이터사업지원단장은 "KT와 서울시 한국교통연구원이 함께 진행할 통근∙통학인구 데이터는 국민의 삶을 한 단계 더 발전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며 "향후 정부 주택정책 개선, 교통 개선 방향 수립 등 분야에 활용될 수 있도록 협력해하겠다"고 말했다.

KT와 서울시는 2017년부터 함께 ‘서울시 생활인구 서비스’를 개발했다. 이는 행정서비스 수요를 파악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