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린 정보통신 행정명령에 "미국 조치를 이미 예상하고 준비해왔다"고 말했다. 또한 조치를 해제하기 위해 미국과 합의에 나서지도 않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했다.

런정페이 회장은 18일(현지시각) 중국 광둥성 심천 본사에서 열린 도쿄신문 등 일본 언론과의 기자회견에서 "미국 조치가 화웨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다"고 말했다.

또한 런정페이 회장은 "미국 조치로 화웨이 성장 속도가 둔화될 수는 있지만 부분적인 수준에 그칠 것이다"라며 "올해 매출 둔화율은 20% 미만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화웨이는 중국 통신장비 업체인 ZTE처럼 미국과 ‘화해' 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선을 그었다.

미국은 지난해 4월 ZTE가 미국의 대북∙대이란 제재를 위반했다며 7년 간 미국 기업과 거래를 하지 못하도록 제재했다. 미국은 ZTE와 14억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고 경영진을 교체하는데 합의하고 제재를 철회했다.

런정페이 회장은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지만 ZTE와 같은 대응은 하지 않겠다"며 "미국에 중재를 요구하지도 않겠다"고 말했다.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회장이 지난 18일 중국 광동성에 위치한 화웨이 본사에서 일본 언론과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니혼게이자이
런정페이 화웨이 창업자 겸 회장이 지난 18일 중국 광동성에 위치한 화웨이 본사에서 일본 언론과 기자회견을 하는 모습./ 니혼게이자이
이번 조치로 화웨이가 스마트폰 생산에 필요한 반도체 등 부품 조달에도 큰 어려움을 겪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기도 했다.

이에 런정페이 회장은 "15년 전부터 화웨이 배제 움직임을 이미 포착했다"며 "미국 이외 지역 조달 경로를 확대하는 등 오래 전부터 준비해왔다"고 설명했다. 이어 "화웨이와 일본 기업은 긴밀한 협력이 가능하다"며 일본 기업에 제품 조달 협조를 요청하기도 했다.

앞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지난 15일 미국의 국가 안보에 위험을 끼칠 수 있는 기업 장비 사용을 금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어 미국 상무부는 화웨이를 거래 제한 기업으로 지정한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미국 업체들은 화웨이 장비를 쓸 수 없을 뿐만 아니라 화웨이에 반도체 등 부품도 공급하지 못한다.

하지만 일부 외신에서는 미국 정부의 화웨이 제재에도 일부 예외 사항들이 존재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놓고 있다.

18일(현지시각) 미국 경제방송 CNBC에 따르면 미국 상무부는 이미 화웨이 제품을 이용하고 있는 미국 통신업체가 네트워크 유지 관리가 필요한 경우 임시 면허발급을 통해 기존 제품을 계속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고 밝혔다.

상무부는 또 화웨이에 대한 부품 공급 제한도 일부 완화할 방침이다. 상무부는 새로운 장비를 만들기 위한 부품 공급은 엄격히 금지하지만 기존 네트워크를 유지 관리하기 위한 경우, 미국 업체의 부품 공급을 제한하지 않을 방침이다.

이는 화웨이에 대한 장비 공급 중단으로 미국 중소 이동통신기업에 이상이 생길 것을 방지하기 위한 조치로 보인다고 CNBC는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