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민관합동으로 진행한 ESS(에너지 저장장치, Energy Storage System) 화재사고 원인조사결과를 11일 밝혔다. 종합안전강화대책과 산업생태계 경쟁력 지원방안도 함께다.

ESS 학계·연구소·시험인증기관 등 전문가 18명이 조사위원회를 구성, 9개 기관 90여명과 함께 시험 및 실증을 벌였다. 분석 결과 ESS 화재사고 대부분(23건 중 14건)은 충전 완료 후 대기중에, 6건은 충·방전 과정에서 일어났다. 설치·시공 시에도 3건 화재 사고가 있었다.

조사위원회는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 시스템 미흡 ▲운영환경 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ESS 통합제어·보호체계 미흡 등 4가지 요인을 확인했다. 이를 토대로 소방기준 및 종합안전강화대책을 마련했다.

정부는 KC인증을 강화, ESS용 대용량 배터리와 전력변환장치를 안전관리 의무대상으로 삼는다. 배터리 셀 안전인증(시험 및 심사)도 실시해 결함 발생을 줄이고 배터리 시스템은 안전확인(시험) 품목으로 관리한다.

이어 국제표준화기구에서 논의 중인 국제표준안을 토대로 ESS 시스템 표준을 세계 최초로 제정한다. 이를 통해 전기·기계·폭발·전자기장·화재·온도·화학·오작동·환경 표준을 만들고 ESS 통합관리 기준, 고효율 인증과 보험 연계 프로그램도 만든다.

ESS 소개 사진. / 산업부 제공
ESS 소개 사진. / 산업부 제공
ESS 설치 기준도 마련된다. 옥내설치는 600㎄h로, 옥외설치 시 별도 전용 건물로 제한된다. 누전차단과 과전압 보호장치 등 보호장치 설치는 의무화되고 배터리 관리 기준도 설정된다. 모니터링 및 비상정지 시스템, ESS 운전기록 보관 시스템도 의무화된다. 정기 및 특별 점검 주기는 단축되고 미신고 시 처벌은 강화된다. 산업부는 ESS를 특정소방대상물로 지정, 화재 안전 기준을 적용한다.

산업부는 기존 설비에 새로운 안전 기준을 적용하기 위해 추가안전조치 비용 일부를 지원하고 분담 방안을 업계와 협의할 예정이다. ESS 안전조치 이행 점검팀을 구성해 설비별 이행 사항도 점검한다.

정부는 이번 대책·지원 방안을 토대로 ESS 산업 생태계의 질적 성장을 이끌 계획이다. 차세대 배터리 개발 및 상용화를 지원하고 협회를 구성해 소통과 협업의 장을 만든다. 단기 인센티브와 수요를 함께 만들어 활력도 공급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