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의 보복적 수출통제의 대표 수혜업체인 미국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론)’ 마저도 일본 조치의 조속한 해결을 요구하고 나섰다. 마이크론은 삼성전자・SK하이닉스에 이어 D램시장 3위업체다. 일본 수출 통제 후 주가가 급등하며 가장 주목받고 있다. 일본 정부의 조치가 세계 어느 곳에서도 공감을 얻지 못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로 해석된다.

24일 업계와 정부에 따르면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이하 마이크론)가 회장사로 있는 미국 반도체산업협회(SIA)는 일본 수출 규제의 조속한 해결을 요구한 서한을 국내 주요 반도체업계와 한일 양국 정부에 보냈다. 국내 반도체업계에는 미국 SIA가 보낸 것으로 확인된다. 서한에는 SIA 이외에 국제반도체장비재료협회(SEMI) 등 5개 단체가 참여했다. 정부측에는 유명희 산업통상자원부 통상교섭본부장 그리고 일본에는 세코 히로시게 경제산업상에게 보냈다. 산업부 관계자는 "사실상 정부 실무책임자로 한일 양국 정부에 보냈다고 보면 된다"고 말했다.

마이크론이 회장사로 있는 미국 반도체산업협회 등이 한일 양국 정부에 보낸 서한 서두 부분./자료 미국반도체산업협회
마이크론이 회장사로 있는 미국 반도체산업협회 등이 한일 양국 정부에 보낸 서한 서두 부분./자료 미국반도체산업협회
SIA 등은 서한에서 일본 정부의 반도체 소재 수출 규제에 우려를 표하며 조속한 해결을 요청했다. 일본의 조치가 규제의 불확실성, 잠재적인 공급망 붕괴, 출하 지연 등을 야기해 글로벌 경제 전체에 심각한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지적했다. 단체들은 서한에서 "세계 정보통신기술(ICT) 산업과 제조업은 상호 복잡한 공급망과 적기 공급성에 의존한다"며 "한국과 일본은 이런 글로벌 밸류체인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일본 조치의 빠른 해결을 요구했다. 특히 불투명하고 일방적인 수출 규제 정책의 변화는 공급망 붕괴와 출하 지연 등으로 이어질 수 있고, 이는 궁극적으로 장기적인 악영향을 초래할 수 있음을 강조했다.

1분기 D램 반도체 시장 점유율. /자료 조선일보 DB
1분기 D램 반도체 시장 점유율. /자료 조선일보 DB
서한은 이어 "세계 ICT 산업과 제조업에 대한 장기적인 악영향을 피할 수 있도록 두 나라가 이번 사안에 대한 신속한 해결을 모색하고, 상황을 더 악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말 것을 촉구한다"고 요청했다.

반도체업계 한 관계자는 "가장 큰 기회를 잡은 마이크론까지 나서서 해결을 촉구했다는 것은 일본의 조치가 얼마나 부적절한지를 보여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