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부가 일본 무역보복 대응 방안을 내놨다. 소재·부품·장비 분야 중소·벤처기업을 적극 지원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생산 협력 체계를 강화할 계획이다.

5일 박영선 중기부 장관은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100+100 프로젝트 추진 계획을 밝혔다.

100+100 프로젝트는 소재·부품·장비 분야 스타트업 100개사를 선정·육성하고, 해당 분야 강소기업 100개를 선정해 연구개발(R&D), 기술이전, 성장자금을 지원하는 내용을 담았다. 중기부는 스타트업 100개사 육성 작업을 2020년부터, 강소기업 100개사 선정은 올해 중 완료할 계획이다.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1일 열린 자상한 기업 업무협약식 행사에서 발언하는 모습./ 중기부 제공
박영선 중기부 장관이 1일 열린 자상한 기업 업무협약식 행사에서 발언하는 모습./ 중기부 제공
중기부는 소재·부품·장비 품목 국산화를 위해 대·중소기업 분업 협력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

박 장관은 "일본이 수출 규제를 한 품목 중 불화수소와 폴리이미디는 국내 생산이 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했다"며 "화이트리스트 배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일부 부품 등도 국내 생산이 가능한 것으로 파악된다"고 설명했다.

현재 중기부는 ‘대중소 상생품목'을 현재 약 30개로 파악했다. 대중소 상생품목은 대기업이 필요로 하고, 국내 중소기업에서 개발·생산이 가능하며, 중소기업 제품 판로가 대기업으로부터 보장받는 품목을 말한다.

중기부는 올해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해당 품목 연구개발(R&D) 등에 1000억원을 집중 투입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중기부는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신뢰를 형성하도록 ‘대중소기업 상생협의회’도 설치할 계획이다.

협의회에는 6대 업종별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참여한다. 품목선정부터 공동 R&D, 실증 테스트 등 상생 협력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소재부품 장비 분야 유망한 중소벤처기업을 발굴하고 공장을 신설할 때 환경·입지 규제를 정부에 건의하는 역할도 맡을 계획이다.

박 장관은 "소재부품장비 스타트업은 대기업과 중견기업 수요에 대응해 국내 생태계를 풍부하게 해줄 것으로 기대된다"며 "상생협의회를 통해서는 소재부품장비 상생 협력의 새로운 모델과 문화가 만들어질 것으로 전망한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