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의 절반 이상이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어떠한 대비책도 준비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일본제품을 수입하는 중소기업 300개사를 대상으로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 영향에 대한 중소 수입업체 의견조사’를 시행했다고 13일 밝혔다.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52.0%는 일본 정부의 화이트리스트 제외에 대응해 별도 대비가 전혀 되어 있지 않다고 답했다.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 /중소기업중앙회 제공
별도로 준비를 한 업체라 하더라도 불안하기는 마찬가지다. 나머지 48.0% 중 준비가 다소 부족하다고 응답한 업체는 ‘약간 준비되어 있다’(20.7%)와 ‘부분적으로 준비되어 있다’(17.7%)를 합쳐 총 38.4%였다. 반면 충분히 대비했다고 응답한 업체는 ‘대부분 준비되어 있다’(8.6%)와 ‘모두 준비되어 있다’(1.0%) 응답을 모두 합쳐도 9.6%에 불과했다.

이들이 마련한 대비책은 비교적 소극적인 대응인 ‘재고분 확보’가 46.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대일본 거래축소 및 대체 시장 발굴’(31.3%), ‘기술개발 등 경쟁력 강화’(15.3%), 국산화 진행 등 기타(6.9%)가 그 뒤를 이었다.

조사에 따르면 최근 일본과 무역전쟁으로 인해 부정적 영향을 느끼는 기업은 25.7%였고, ‘아직 모르겠다’는 응답은 39.0%, ‘부정적 영향 없다’는 응답은 35.3%였다.

지금은 영향을 받지 않더라도 화이트리스트 제외 발효 시 기업경영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한 중소기업은 67.3%로 드러났다. 이들이 영향을 받게 되는 시기는 3개월 이내(36.3%), 4개월에서 1년 사이(26.7%), 1년 이후(4.3%)로 나타났다.

중소기업들은 정부가 가장 먼저 추진해야 할 정책 분야로 ‘일본과의 외교적 해결 및 국제공조 강화’를 44.7%로 가장 많이 꼽았다. ‘기업피해 최소화 및 공정환경 조성’(34.3%), ‘소재·부품·장비 산업 경쟁력 강화’(21.0%)가 그 뒤를 이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이번 조사 후속 조치를 마련했다. 8월 중으로 전 소재·부품·장비 생산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대기업과의 공동기술개발 수요를 파악한다. 이후 발굴한 중소기업과 관련 대기업의 만남을 주선할 계획이다.

김기문 중소기업중앙회 회장은 "그동안 중소기업이 어렵게 기술개발을 하더라도 대기업이 구매를 하지 않아 많은 기술이 사장됐다"며 "앞으로 우리는 적극적으로 우수 소재·부품·장비 중소기업을 발굴하고 이를 대기업과 연결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