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부 코스닥 상장 바이오기업이 악재를 딛고 반등하는 모습이다. 새내기 바이오기업들의 코스닥 입성 프로젝트가 다시 부산해졌다. 다만 업계는 코오롱 인보사 사태와 신라젠 펙사백 글로벌 임상 3상 중단 등 악재 여파를 이유로 시장 입성이 쉽지 않다고 본다. 상대적으로 입성이 쉬운 코넥스 시장을 거쳐 시장 분위기를 봐가며 코스닥으로 넘어가는 전략을 짜는 움직임도 있다.

./코스닥 홈페이지 갈무리
./코스닥 홈페이지 갈무리
4분기 코스닥 입성 노리는 바이오 기업

22일 제약바이오 업계에 따르면 코스닥 기술특례상장을 신청한 기업은 현재 20곳 이상이다. 또 코스닥 상장예비심사를 청구한 기업은 10곳으로 천랩과 JLK인스펙션, 노브메타파마, 브릿지바이오, 메드팩토, 듀켐바이오, 티씨엠생명과학, 신테카바이오, 제테마, 노터스, 라파스, 리메드 등이다.

이 중 브릿지바이오와 신테카바이오는 성장성 특례로 코스닥 시장 문을 두드린다. 성장성 특례는 주관사가 추천하고 주가 하락에 일정 부분 책임을 진다. 기술특례 상장과 비교해 상장 조건이 까다롭지 않다고 알려졌다.

노브메타파마와 듀켐바이오는 신속이전상장 제도를 통해 코스닥 상장에 도전한다.

끊임없는 악재에도 바이오기업이 증권 시장에 눈독을 들이는 이유는 개발비용 조달이 이유로 꼽힌다. 장기적 투자가 필요한 업종 특성때문이다. 약 하나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1조원이 넘는 비용이 투입되는 만큼 개별 기업 이슈가 상장 지연 이유가 되지 않는다는 분석이다.

금융투자업계 한 관계자는 "바이오 악재에도 장기적인 관점으로 투자하자는 마인드를 가진 투자자들이 많다"고 전했다.

하반기에는 각종 특례 상장으로 상반기 대비 코스닥 입성이 좀 더 수월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한 몫한다. 한 업계 관계자는 "SK바이오팜 등 대어급 공모주 등장이 예고된다"며 "이는 침체된 바이오 시장에 활기를 넣어줄 요인이다"라고 말했다.

코넥스 입성이 대안될까

바이오 업계 일각에선 코넥스 상장도 방법이라고 조언한다. 큰 비용을 들이며 상장 가능성 여부를 모르는 코스닥 입성만 바라볼 게 아니라고 입을 모은다.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한 체력을 기를 수 있고 상대적으로 비용절감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체력을 키워놓고 시장 상황을 봐가며 코스닥을 노려볼 수 있다는 의미다. 코넥스는 2013년 박근혜정부 당시 창조경제 정책 일환으로 탄생했다. 중소·벤처 기업을 대상으로 자금조달을 지원하는 등 성장을 돕는다는 취지다.

한국거래소 한 관계자는 "바이오에 특화된 기술특례 상장제도를 활용하는 방안이 아니라면 코넥스 상장도 하나의 전략이 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넥스를 좋지 않은 시선으로 보는 바이오 업계 관계자들이 많다"며 "코스닥 대비 상장이 훨씬 수월하고 코스닥 이전상장을 위해 체력을 제대로 기를 수 있을 뿐 아니라 비용 절감 효과도 누릴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 코넥스 시장 상장을 위해서는 외부감사인의 적정 의견과 지정자문인 선임만 하면 간단한 절차를 거쳐 상장이 가능하다.

이 관계자는 "코넥스에서 코스닥으로 이전상장할 경우 시장에서 회사 시장가치를 미리 인정받을 수 있다"며 "직상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쉽게 코스닥에 이전상장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되는 셈이다"라고 강조했다.

반대 의견도 있다. 코넥스 시장이 이미 활기를 잃은 상태에서 코스닥 이전상장이 결코 쉽지 않다는 분석이다.

증권가 한 관계자는 "악재가 겹친 현 시장 상황에 코넥스 상장을 하는 것은 안전한 선택이 아니다"라며 "바이오 시장이 좋아지더라도 당장 혜택을 보는 건 코스닥이지 코넥스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바이오 업계 종사자들 역시 비슷한 시각이다. 한 제약사 관계자는 "문재인정부가 들어서면서 코넥스 시장이 활기를 잃었다는 평이 지배적이다"라며 "바이오기업들은 코넥스 상장에 몸을 사리는 분위기다"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코스닥 이전상장 실적이 좋지 않다는 것이야말로 몸을 사리는 진짜 이유이기도 하다"며 "기술특례 상장을 노린다해도 상장예비심사 문턱을 넘기지 못하는 기업이 수두룩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업체 관계자는 "코넥스 시장은 주식거래시장으로서 제대로 된 역할을 하지 못하고 있다"며 "거래소 측은 상장 이후 신주인수권부사채(BW)나 전환사채(CB) 등을 통한 자금조달이 용이하다고 주장하지만, 실제 이를 통해 상장한 기업의 자금조달 활동은 활발하지 못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