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AI+X ② 5G생태계 ③ CDO(최고디지털전환책임자) ④ 모빌리티 ⑤ CBDC(중앙은행 디지털 화폐) ⑥ 클라우드+ ⑦ 게임 구독·스트리밍 ⑧ M&A ⑨ X테크 ⑩ 뉴 디바이스 ⑪ 셰어링(Sharing)

무엇이든 공유(Sharing)하는 시대다. 임대료와 인건비, 교통비 같은 각종 사회 비용이 크게 늘어난 데 따른 현상이다. 기존 시장을 혁신하고 이익을 공유하자며 모인 이들이 만든 공유경제라는 질서가 완전히 자리 잡는 모양새다. 정보통신(IT) 기술은 여기에 날개를 달아줬다. 올해는 이런 공유경제 시장이 더욱 활기를 띨 전망이다.

공유경제는 무한 팽창 중

공유경제는 당장 사용하지 않는 자원을 플랫폼을 이용해 공유해 사용하는 개념이다. 자원에는 숙소와 차량, 사무실 등 기존에는 공유하지 않았던 각종 자본이 포함된다. IT 플랫폼은 수요자와 공급자가 쉽게 연결되도록 돕는다.

글로벌컨설팅업체 PwC에 따르면, 세계 공유경제 시장 규모는 2013년 150억달러(약 17조4000억원)에서 2025년 3350억달러(약 388조5000억원)로 커질 전망이다.

대표 공유경제 서비스는 공유숙박이다. 에어비앤비가 가장 유명하다. 공유주방과 공유오피스 등도 있다. 국내에서는 위쿡과 고스트키친, 먼슬리키친 등 다양한 공유주방 서비스가 등장했다. 공유오피스 시장은 위워크와 패스트파이브, 스파크플러스 등이 국내 시장에서 경쟁한다.

공유주방 고스트키친 내부 전경./ 고스트키친 제공
공유주방 고스트키친 내부 전경./ 고스트키친 제공
무형자산인 자금과 가치를 공유하는 개념인 크라우드펀딩도 활발하다. 크라우드펀딩은 자금이 부족한 이들이 자신의 프로젝트를 인터넷에 공개하고 일반 대중으로부터 투자를 받는 방식이다. 비금융형 크라우드펀딩은 기부형과 후원형, 선구매형으로 나눌 수 있다. 증권형은 투자 대가로 채권을 지급받는다. 증권형 크라우드펀딩 대표 사례는 P2P(개인간 거래) 금융이다.

재능공유 플랫폼도 인기다. 나만의 특기와 재능을 필요한 이에게 서비스로 제공한다. 온오프라인 수업으로 누구나 자신의 재능을 공유하는 플랫폼 탈잉, 재능 아웃소싱 중개서비스 크몽 등이 있다.

모빌리티 분야는 비교적 일찍 공유경제 시장이 활성화됐다. 2011년 등장한 카셰어링 서비스가 대표적이다. 카셰어링은 최근 자동차산업에서 가장 가파른 성장세를 보인다. 쏘카에 따르면 국내 카셰어링 시장 규모는 2018년 약 3200억원으로 추정된다. 2020년에는 5000억원 이상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업계 선두 업체인 쏘카와 그린카는 회원수 900만명 이상, 운영차량은 2만대 가까이 확보했다. 수도권과 유명 관광지에서는 카셰어링을 이용하는 데 큰 어려움이 없을 정도다.

전동킥보드를 위시한 개인형 전동 이동수단 공유도 수도권과 전국 대학교 등을 중심으로 급속하게 확산한다. 업계서는 서울 강남과 잠실 등에만 10만대 이상 전동 킥보드가 보급된 것으로 본다. 글로벌 전동 킥보드 공유업계 1위 라임, ‘아시아 최초’를 앞세운 싱가포르 계열 서비스회사 빔모빌리티 등도 지난해 국내에 진출하며 세를 넓혀간다.

전동킥보드나 전기자전거 등 전동화된 개인형 모빌리티는 2010년대 초반 이후 젊은 소비층을 중심으로 급격히 세를 넓혀갔다. 보관이 간편하고 ‘이동의 즐거움’을 앞세우며 글로벌 시장에서도 급격한 성장을 거뒀다. 국내에서는 개인소유에서 공유로 무게중심이 이동했다. 여기엔 교통체증이 빈번하고 대중교통이 발달한 한국의 특성이 한 몫 했다.

 쏘카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 장면. / IT조선 DB
쏘카 카셰어링 서비스 이용 장면. / IT조선 DB
기존 사업자와 갈등·신뢰확보…공유경제 업계에 남은 숙제

기존 업계나 제도와 불협화음을 해결하는 것은 공유경제 사업자들 과제로 지적된다.

대표적으로 차량공유 서비스 타다를 둘러싼 갈등이 꼽힌다. 공유숙박 업계도 마찬가지다. 현행 법에 따르면 에어비앤비를 내국인이 이용하는 것은 불법이다. 그나마 정부가 규제 샌드박스를 적용해 지하철역 주변 1km 안에 있는 가정집은 1년에 최대 180일까지 내국인에게도 빈방을 빌려줄 수 있다. 기존 숙박업계는 에어비앤비 등 공유숙박 사업자 등장으로 생존에 위협을 받고 있다며 비판을 이어간다.

이들 사업자가 시장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소비자 신뢰를 확보하는 일이 선행돼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일부 서비스는 혁신성을 내걸면서도 소비자 신뢰를 위한 노력에 소홀하다는 비판을 받고 있어서다.

최근 크라우드펀딩 플랫폼 와디즈에서는 중국산 제품판매를 둘러싼 논란이 불거졌다. 혁신 상품을 만들어 판다는 명목으로 진행된 펀딩이었지만, 알고보니 중국에서 같은 상품을 더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고 있는 사실이 드러났다. 일부 P2P업체는 최근 투자상환이 지연되는 사례가 늘어나 불안감을 낳는다. 한국P2P금융협회에 따르면 연체율은 2019년 11월 기준 약 8%에 이른다. 2016년에는 0.42%였다.

김민호 성균관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공유경제 서비스는 아예 새로운 시장을 개척하기보단 기존 시장을 잠식하는 형태로 등장했다"며 "그러다보니 기존 시장과 사업자 등과 마찰은 앞으로도 피하기 어려울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다만 김 교수는 정부가 강제로 시장 갈등을 해결하려 들면 안된다고 덧붙였다. 그는 "정치의 힘으로 개입하려들면 오히려 시장질서가 왜곡될 수 있다"며 "정부는 시장 사업자끼리 해법을 찾도록 연착륙을 유도해야 한다"라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