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 대응에 총력을 기울이기 위해 관계부처가 머리를 맞댄다. 신속진단제 개발 및 치료제 연구를 추진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행정안전부, 질병관리본부는 ‘국민 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사업'을 활용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신속진단제, 기존 약물을 활용한 치료제 재창출 등 긴급대응연구를 추진한다고 밝혔다.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을 찾은 승객들이 우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있다./ 조선일보 DB
인천국제공항 출국장을 찾은 승객들이 우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마스크를 쓰고 있다./ 조선일보 DB
‘국민생활안전 긴급대응연구’는 과기정통부와 행안부가 협업해 예기치 못한 다양한 재난안전 문제에 대해 과학기술을 활용해 보다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연구개발사업이다. 기존 연구개발이 과제 기획부터 착수까지 1~2년이 소요되는 것과 달리, 기간을 단축했다.

정부는 1월 20일 한국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최초 확진자가 발생한 후 질본과 협의해 긴급현안 수요를 발굴했다. 이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시급히 연구개발이 필요한 4개 과제를 추진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대응 신속진단제 개발’은 면역학적 반응 원리를 기반으로 진단검체 전처리, 항원 진단기술, 시약개발 및 임상학적 성능평가 등 방역 현장에서 보다 신속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진단하기 위한 기술을 개발하는 것이다.

‘인공지능 기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제 재창출’은 현재 다른 질환의 치료를 위해 사용되고 있는 기존 치료제 중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치료에 효과가 있는 약물을 인공지능을 활용해 신속히 선별하여 시급히 치료제를 확보하기 위한 과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위해도 평가를 위한 바이러스 특성 연구’는 바이러스의 성장 특성, 병원성·감염력, 항원성·면역력 등 고유 특성을 분석해 방역당국에 필요한 정보를 조기에 제공하고, 감염환자의 처치 및 향후 치료제 개발 등에 활용하도록 하기 위한 과제다.

마지막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발생지 역학 정보 및 자원 수집·제공 연구’는 국내·외 발생 지역(아시아 중심)의 감염 발생률 및 분포율을 분석·예측하고, 해외 바이러스 R&D 네트워크를 활용해 관련 자원을 수집·제공하여 방역당국의 적절한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한 과제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중앙-지방 재난안전 연구개발 협의체를 개최해 상기 4개 과제를 확정한다. 2월 중 연구기관과 연구책임자를 선정해 과제를 착수한다.

과기정통부와 행안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국민의 안전을 지키기 위해 한국 과학기술 역량을 총체적으로 활용해 필요한 기술들을 신속히 개발하는 동시에, 질병관리본부 등 관련 기관과 긴밀히 협력해 현장에 공급하는 등 적극적으로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