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스캐너·마스크사자 등 베타서비스 돌입
정부가 보유한 공적 마스크 판매 현황 데이터를 활용한 웹 서비스가 11일 오전 8시부터 시작됐다. 베타 서비스 중인 곳이 대부분이지만, 직접 오프라인 약국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구매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초기 공적 마스크 현황 서비스는 약국 등의 마스크 보유 현황을 4가지 단계(없음, 부족(30개미만), 보통(30~99개), 충분(100개 이상))로 표시하며, 정보 업데이트 간격은 5분(최대 10분)이다.
정부는 10일 오후 7시부터 스타트업·개발자 커뮤니티 등과 논의를 거쳐 확정한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개방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공적마스크 판매처와 판매현황 등 데이터를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NIA)에 제공하고, NIA는 약국 주소를 결합하는 등 재가공 형태로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오픈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제공한다. 스타트업과 개발자 커뮤니티 등은 정부 제공 데이터를 활용해 공적마스크 판매처와 재고 등 정보를 담은 앱이나 웹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한다.
11일 오전 8시 기준으로 공적마스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4~5곳쯤 되지만 아직은 베타테스트 단계다. 마스크 현황 정보는 약사들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만큼 일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과신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정부가 보유한 공적 마스크 판매 현황 데이터를 활용한 웹 서비스가 11일 오전 8시부터 시작됐다. 베타 서비스 중인 곳이 대부분이지만, 직접 오프라인 약국을 방문하지 않더라도 대략적인 구매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어 편리하다.
초기 공적 마스크 현황 서비스는 약국 등의 마스크 보유 현황을 4가지 단계(없음, 부족(30개미만), 보통(30~99개), 충분(100개 이상))로 표시하며, 정보 업데이트 간격은 5분(최대 10분)이다.
정부는 10일 오후 7시부터 스타트업·개발자 커뮤니티 등과 논의를 거쳐 확정한 공적 마스크 판매 데이터를 개방했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은 공적마스크 판매처와 판매현황 등 데이터를 한국정보화진흥원(이하 NIA)에 제공하고, NIA는 약국 주소를 결합하는 등 재가공 형태로 네이버 클라우드를 통해 오픈API(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방식으로 제공한다. 스타트업과 개발자 커뮤니티 등은 정부 제공 데이터를 활용해 공적마스크 판매처와 재고 등 정보를 담은 앱이나 웹서비스를 만들어 제공한다.
11일 오전 8시 기준으로 공적마스크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은 4~5곳쯤 되지만 아직은 베타테스트 단계다. 마스크 현황 정보는 약사들이 직접 입력해야 하는 만큼 일부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과신해서는 안된다는 말이다.

가장 대표적인 공적마스크 판매 정보 제공 서비스로는 웹 방식의 마스크알리미가 있다. 정부의 약국 기반 공적 마스크 판매 정보는 약국 스스로 재고 현황을 입력해야 하는 한계가 있어 데이터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마스크알리미 측은 이 점을 고려해 우체국·농협하나로마트 마스크 재고를 중점 제공한다.
병원 예약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굿닥은 마스크스캐너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스크스캐너는 정부의 권고에 따라 총 4가지 단계로 마스크 수량을 구분해 안내한다. 서비스 시작 초기 단계라 14일까지 베타 서비스 형태다. 마스크 재고 현황 정보는 데이터 처리 및 전송으로 인해 실제 현장과 5~1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마스크 현황 정보는 성인용 마스크를 대상으로 한다.
마스크사자는 15일까지 베타테스트를 진행하며, 공적마스크 판매 정보는 타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5분 이상 지연된 정보인 만큼 참고용으로 활용해야 한다. 마스크 사자 측은 실제 약국에 있는 재고량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현장에 있는 약사들에게 문제 제기를 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병원 예약 등 서비스를 제공하는 굿닥은 마스크스캐너 서비스를 제공한다. 마스크스캐너는 정부의 권고에 따라 총 4가지 단계로 마스크 수량을 구분해 안내한다. 서비스 시작 초기 단계라 14일까지 베타 서비스 형태다. 마스크 재고 현황 정보는 데이터 처리 및 전송으로 인해 실제 현장과 5~10분 정도 차이가 있다. 마스크 현황 정보는 성인용 마스크를 대상으로 한다.
마스크사자는 15일까지 베타테스트를 진행하며, 공적마스크 판매 정보는 타 서비스와 마찬가지로 5분 이상 지연된 정보인 만큼 참고용으로 활용해야 한다. 마스크 사자 측은 실제 약국에 있는 재고량과 오차가 발생할 수 있어 현장에 있는 약사들에게 문제 제기를 하지 말아 달라고 당부했다.

공공마스크 서비스는 마스크사자처럼 15일까지 베타서비스를 제공하며 마스크 정보는 5분(최대 10분) 단위로 갱신한다. 사용자가 ‘내 위치 근처’ 버튼을 누르면 현재 자신이 있는 위치 근처 판매처를 확인할 수 있다. 마스크 재고 수량은 정확한 개수 대신 총 4가지 단계로 표시된다.
한편, 정부는 9일부터 마스크 구매 5부제를 시행했다. 국내 하루 평균 마스크 생산 물량(1000만장) 중 800만장을 공적 의무 공급 물량으로 쓴다. 800만장 중 200만장은 의료기관이나 취약계층 등에 보급하며, 600만장은 약국(560만장) 등 판매처를 통해 공급한다. 마스크는 조달청이 납품을 받으며, 시중 판매 가격은 1500원이다.
국민 한 명당 구매할 수 있는 마스크 수는 주당 2장이며, 개인별 마스크 구매 가능 요일은 출생연도에 따라 구분한다. 출생연도 끝자리가 1·6인 사람은 월요일, 2·7인 사람은 화요일에 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다. 주말에는 전 국민의 마스크 구입이 가능하다.
한편, 정부는 9일부터 마스크 구매 5부제를 시행했다. 국내 하루 평균 마스크 생산 물량(1000만장) 중 800만장을 공적 의무 공급 물량으로 쓴다. 800만장 중 200만장은 의료기관이나 취약계층 등에 보급하며, 600만장은 약국(560만장) 등 판매처를 통해 공급한다. 마스크는 조달청이 납품을 받으며, 시중 판매 가격은 1500원이다.
국민 한 명당 구매할 수 있는 마스크 수는 주당 2장이며, 개인별 마스크 구매 가능 요일은 출생연도에 따라 구분한다. 출생연도 끝자리가 1·6인 사람은 월요일, 2·7인 사람은 화요일에 마스크를 구입할 수 있다. 주말에는 전 국민의 마스크 구입이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