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3사와 SK텔레콤이 만든 OTT플랫폼 ‘웨이브’에 이어 CJ ENM과 JTBC가 OTT플랫폼을 만든다. LGU플러스와 KT, 넷플릭스를 비롯한 해외 기업이 어느 OTT플랫폼에 참가하느냐에 따라 한국 시장에 지각변동이 일어날 전망이다.

CJ ENM은 최근 OTT 사업부문(티빙)을 별도 법인으로 분사하기로 결정했다. 2019년 JTBC와 합작 OTT 법인을 만든다고 밝힌지 반년 만이다. CJ ENM과 JTBC는 OTT 법인을 올 상반기 내 구성, 운영할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KBS·MBC·SBS와 SK텔레콤은 2019년 9월 OTT플랫폼 웨이브를 결성했다. 대작 드라마 및 독자 콘텐츠를 앞세워 2023년 한국 가입자 500만명, 매출 5000억원을 올린다는 목표와 함께다. 세계 OTT시장 진출 계획도 밝혔다.

지상파3사는 드라마와 뉴스, 푹(POOQ)의 외국 드라마와 영화 콘텐츠를 웨이브에 제공한다. SK텔레콤도 옥수수 영화, 스포츠 중계와 가상현실(VR) 콘텐츠를 각각 웨이브로 지원한다. 신구 콘텐츠간 조화가 잘 이뤄졌다는 평가다.

CJ ENM·JTBC·WAVVE 로고
CJ ENM·JTBC·WAVVE 로고
CJ ENM과 JTBC도 합작 OTT 법인을 통해 고유 콘텐츠를 제공할 전망이다. CJ ENM은 앞서 tvN 드라마 ‘나의 아저씨’, ‘도깨비’, ‘응답하라 시리즈’등을 앞세워 드라마 왕국으로 발돋움했다.

JTBC도 최근 드라마, 예능 부문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자체 제작 드라마 투자 계획도 밝혔다. CJ ENM의 드라마와 JTBC의 예능 시청률은 지상파3사를 압도하는 수준이다. 양사의 합작 OTT 법인이 단기간에 웨이브 수준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CJ ENM·JTBC 합작 OTT 법인에 LGU플러스와 KT 등 한국 콘텐츠 기업, 넷플릭스를 비롯한 세계 OTT 기업이 합류할지 여부도 관심거리다. 이들 기업이 모두 밀접한 제휴 관계를 맺고 있어서다.

LGU플러스와 KT는 웨이브에 참가하지 않고 각각 U+TV, 시즌(Seezn) 등 자체 OTT 플랫폼을 운영했다. 동시에 양사는 CJ ENM·JTBC와의 콘텐츠 협력도 이어왔다. 사용료 협상에 이견을 빚는 등 마찰도 있었으나, LGU플러스가 CJ ENM·JTBC의 OTT 플랫폼에 참가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CJ ENM+JTBC 결합상품을 최근 선보인 KT도 우호적인 모습이다.

넷플릭스도 앞서 2018년 LGU플러스와 콘텐츠 독점공급 계약을 맺었다. 넷플릭스는 CJ ENM 스튜디오드래곤, JTBC콘텐트허브와 콘텐츠 제작 및 유통 제휴도 맺었다. CJ ENM·JTBC OTT 플랫폼에 넷플릭스가 가세할 가능성이 큰 이유다.

3개월만에 가입자 2860만명을 모을 정도로 큰 인기를 끈 디즈니플러스가 한국에 들어올 때, 어떤 OTT플랫폼과 함께할지에도 관심이 모인다. 업계에 따르면, 한국 이통3사 모두 디즈니플러스를 영입하기 위해 접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