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R&D) 역량을 키우기 위한 2021년 투자방향이 정해졌다. 반도체·디스플레이 외 신소재 분야 기술개발도 지원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제3회 소재·부품·장비 기술특별위원회(소부장 기술특위)를 서면으로 개최하고, 2021년도 소재·부품·장비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안) 등 5개 안건을 심의·의결했다고 16일 밝혔다.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과기정통부 제공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 과기정통부 제공
2021년도 소재·부품·장비 분야 정부 연구개발 투자방향(안)은 국내 소부장 분야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단기 및 중장기 맞춤형 지원전략, 국가 연구역량을 결집하기 위한 산·학·연 R&D 협력체계 등을 주요 골자로 한다.

또 반도체·디스플레이 등 분야별 중점 지원 분야 및 BIG 3 분야(시스템반도체, 바이오헬스 소재, 미래차 핵심부품) 등 미래시장 선점을 위한 신소재 분야 투자 방향 등이 포함됐다. 과기정통부는 2021년도 소부장 투자방향을 기준으로 2020년 6월에 2021년도 소부장 정부 R&D 예산을 배분하고 조정한다.

소부장 기술특위의 민간위원장인 김상식 고려대 교수는 "코로나 19의 영향으로 글로벌 공급망이 위협을 받고있는 어려운 시기이지만 우리 학계·연구계·산업계가 힘을 모아 충분히 극복 해나갈 수 있을 것"이라며, "소부장 기술특위가 연구개발 예산을 전략적으로 투자할 수 있는 방향을 함께 고민하고, 산학연 간 협업할 수 있는 연구 인프라를 마련해나가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는 ‘소재·부품·장비 연구개발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 실행계획 추진현황’과 ‘소재·부품·장비 국가연구인프라(3N) 추진현황 및 향후계획(안)’도 보고됐다.

소부장 R&D 투자전략 및 혁신대책의 29개 세부과제 추진실적을 점검한 결과, 맞춤형 전략 마련 및 예타제도 개선 등 16개 과제가 완료됐다. 공동관리규정 개정 및 3N 지정 운영 등 13개 과제가 정상추진 중이다.


29개 전략과제 추진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29개 전략과제 추진 현황./ 과기정통부 제공
총 3단계에 걸쳐 추진되는 3N 지정은, 즉시 운영이 가능한 출연연 등을 중심으로 1단계 지정했고, 대상과 범위가 확대된 2단계 지정이 진행 중이다. 2단계 지정 결과에 따른 공백 분야에 대해서는 3단계 지정에서 추가로 지정한다.

소부장 기술특위의 정부 측 위원장인 김성수 과학기술혁신본부장은 "혁신본부에서는 관계부처에서 추진 중인 35개 소부장 R&D 사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독려하고, 신규 사업들이 현장에 신속하게 정착해 업계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지속해서 점검하겠다"라고 말했다.

#과기정통부 #소부장 #기술특위 #연구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