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부가 전기차 보조금 정책을 2년 연장하기로 하자 한국 배터리 업계에 기대와 우려가 교차한다. 공급량과 판로 확대와 같은 보조금 수혜를 기대하면서도, 당장 미칠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신중론도 만만찮게 나온다. 이제 막 발을 뗀 중국 시장 진입 자체에는 호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 / IT조선 DB
. / IT조선 DB
보조금 지급 대상에 한국 기업 포함…’내수시장 빗장’ 열리나

중국 정부는 지난해 12월, 배터리 보조금 화이트 리스트로 불리는 ‘신재생에너지차 보급응용추천 목록'에
한국 기업이 배터리를 납품하는 모델을 포함했다. 목록에 들어간 모델은 LG화학이 배터리를 납품하는 ‘테슬라 모델3’와 SK이노베이션이 배터리를 납품하는 베이징벤츠의 ‘E클래스 플러그인하이브리드’다.

지난 3월에는 LG화학에 배터리를 공급받는 상하이 ‘테슬라 모델3 세단형’ 전기차와 삼성SDI가 배터리를 공급하는 충칭진캉 SUV형 전기차 ‘세레스 SF5’가 보조금 추천 및 구매세 면제 목록에 올랐다.

이로써 한국 기업의 배터리를 장착한 전기차 모델 4종에 보조금이 지급될 가능성이 커졌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한국 기업이 보조금 지급 대상에 오른 것과 중국이라는 거대 시장이 활기를 찾아 사업 가능성이 열리는 측면은 긍정적"이라며 "아직 정책을 연장한다는 것 말고 보조금 규모 등 세부사항은 알려진 바가 없어 상황을 주시 중"이라고 말했다.

中, 장기 침체 내수시장 먼저 살릴 것…‘신중론’도 나와

지난 1월 중국 전기차 배터리 사용량은 전년 대비 반토막이 났다. 전기차 판매량도 40% 넘게 줄었다. 반년 가까이 장기침체가 이어졌다.

심각한 침체에 빠진 내수시장을 살리기 위해 다시 보조금 카드를 꺼낸 중국 정부다. 이 때문에 과거처럼 자국기업 위주의 폐쇄적인 정책을 펼칠 가능성도 제기된다. 중국 정부는 지난 2019년 3월, 한국 배터리 업체가 납품하는 전기차 모델을 보조금 추천 목록에 올리고도 최종 승인 단계에서 거절한 바 있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이 정부 눈치를 보며 외국 배터리업체와의 거래를 꺼릴 수도 있다. 이런 상황이라면 한국 기업은 다시 중국 시장에서 실익을 얻기 어렵다.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은 "전기차 관련 생태계 전반에 구조조정 가능성까지 제기될 정도로 심각했던 내수시장 침체를 회복하는 것이 중국 입장에선 급선무"라며 "자국기업 중심 보조금 정책을 펼칠 가능성도 얼마든지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관심사는 결국 중국 전기차 시장이 이번 보조금 연장으로 얼마나 되살아날 것인가다. 그간 수요가 많이 위축된 데다 코로나 사태까지 겹쳐 보조금 정책의 파괴력을 의문시하는 시각도 있다. 회복세가 빠를수록 한국 배터리업체들의 침투 기회는 늘어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