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민간 분야의 웹 접근성 수준이 낮아 고령자나 장애인 등이 콘텐츠 이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9년도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를 15일 발표했다. 웹 접근성이란 장애인, 노인 등 신체적 제약이 있는 사용자도 웹사이트에서 제공되는 다양한 콘텐츠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을 말한다.

2019년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19년 웹 접근성 실태조사 결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2019년도 실태조사는 이용 빈도가 높은 금융·보헙업, 숙박·음식점업, 부동산업 등 8개 표준산업 분야의 웹사이트 1000개를 선정해 ‘한국형 웹 콘텐츠 접근성 지침' 준수 여부를 한국웹접근성평가센터에서 평가했다.

실태조사 결과 1000개 웹 사이트의 평균 점수는 53.7점(2018년도와 동일한 평가기준 적용 시 67.6점, 전년 대비 1점 상승)이었다. 미흡한 수준에 해당하는 웹사이트 비율은 66.6%(2018년도와 동일한 평가기준 적용 시 52.2%, 전년 대비 22.1%P 감소)였다.

웹 접근성 점수는 정보 취약계층이 사이트 내 콘텐츠를 얼마나 쉽게 이용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95점 이상을 '우수', 85점 이상을 '양호', 75점 이상을 '보통', 75점 미만을 '미흡'으로 구분한다.

산업분야별로 살펴보면 ‘금융·보험업’ 분야의 웹 접근성 수준이 평균 60.7점으로 상대적으로 높고, ‘보건·사회복지서비스업’ 분야가 35.6점으로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항목별로 살펴보면, 배너 등과 같이 빠르게 변경되는 콘텐츠의 움직임을 사용자가 원할 때 멈출 수 있도록 하는 ‘정지 기능 제공’ 항목의 준수율(33.6%)이 가장 저조했다.

'메뉴 등과 같은 웹페이지의 반복적인 영역을 건너뛸 수 있도록 하는 기능 제공’, ‘이미지(image) 등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는 대체 글 제공’ 등 항목의 준수율도 50% 미만으로 나타났다.

과기정통부는 웹 접근성이 미흡한 기관을 대상으로 설명회 개최와 개선사항에 대한 컨설팅을 지원한다. 웹 개발자에 대한 기술교육·세미나, 교육콘텐츠 제작·배포 등을 추진해 민간의 인식 제고와 접근성 개선을 유도한다. 복지관 등 장애인이 주로 이용하는 시설의 웹사이트에 대해서는 접근성 개선을 직접 지원(매년 30개)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