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감염병 검사·추적·치료 등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이 개발됐다고 10일 KAIST가 밝혔다.

시스템은 GPS·무선랜·블루투스·기압계·관성 센서의 신호를 주기적으로 수집하는 스마트폰 블랙박스를 기반으로 한다.

KAIST 대전 본원에 위치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 데모룸’에서 KAIST 한동수 교수와 신성철 총장(왼쪽에서 세번째부터)이 연구원들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KAIST 대전 본원에 위치한 ‘코로나19 감염병 확산방지시스템 데모룸’에서 KAIST 한동수 교수와 신성철 총장(왼쪽에서 세번째부터)이 연구원들이 화이팅을 외치고 있다.
시스템은 일반인을 위한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 감염병 관리기관을 위한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 그리고 ‘격리자 관리 시스템' 3개로 이뤄져 있다.

바이러스 노출 자가진단 시스템은 확진자의 동선과 개인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동선의 중첩 여부를 체크한다. 현재 방식은 확진자의 정보가 메시지를 통해 전달되고 개개인이 직접 확진자의 동선을 확인하는 불편함이 따르지만 이번에 개발한 시스템은 사용자가 수시로 해당 앱의 버튼을 눌러 바이러스 노출 여부를 쉽고 빠르게 확인한다.

확진자 역학조사 시스템은 감염병 확진을 받은 환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에 기록된 신호를 지도상에 표시를 해주기 때문에 역학 조사관이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시스템에는 실내·외 통합 위치 인식시스템 KAILOS(KAIST Locating System) 기능도 적용했다. 실내지도와 신호지도가 준비된 건물에서는 건물 내부에서도 확진자의 이동 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 블랙박스는 격리자 관리에도 활용된다. 격리자의 스마트폰 블랙박스가 수집한 신호는 주기적으로 `격리자 관리 시스템'에 전송된다. 전송받은 신호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격리자의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한다. GPS 신호뿐 아니라 무선랜 신호를 사용함으로써 실외뿐 아니라 실내에서의 확진자 격리공간 이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스마트폰에 내장돼있는 GPS와 와이파이·블루투스·관성센서 등을 통해서 수집된 신호를 보관했다가 2주가 지나면 자동으로 폐기한다. 또 확진자의 동선을 공개하는 경우 문자로 표현되는 장소 정보가 아닌 신호 정보를 공개해 확진자 사생활 보호가 가능하다.

개발을 주도한 한동수 KAIST 전산학부 교수는 "현재 테스트작업을 진행중ˮ이라며 "작업을 마치는 대로 시스템을 출시할 계획ˮ이라고 소개했다.

신성철 KAIST 총장은 "PreSPI(Prevention System for Pandemic Disease Infection)로 이름 붙인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코로나19 의료진 등 방역 분야 종사자들의 업무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며 "사생활 침해 논란 없이 신속하고 정확한 역학조사가 가능해져 K-방역의 우수성을 세계 각국에 과시하는 계기가 될 것ˮ이라고 강조했다.

김준배 기자 joon@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