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 디지털 역량 강화에 힘을 쏟는다. 모바일 뱅킹, 온라인 기차표 예매 등 일상 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기기 활용법을 안내한다. 장애인·노인 등 취약 계층은 찾아가 교육해 주는 등 전방위적 ‘디지털 포용' 정책을 추진한다.

박운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 / 류은주 기자
박운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 / 류은주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정보문화의 달을 맞아 22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총리 주재로 개최된 정보통신전략위원회에서 ‘디지털 포용 추진계획’을 의결하며 이같은 계획을 확정했다. 디지털 포용은 단순히 취약계층의 정보 접근성을 높이는 것을 넘어 모든 국민이 디지털의 혜택을 직접 찾아서 누릴 수 있도록 디지털 환경 전반을 정비하는 것이다.

주민센터, 도서관, 과학관 등 집 근처 생활 SOC를 ‘(가칭)디지털 역량 센터’로 모든 국민에게 일상생활에 필요한 디지털 기본역량 교육을 한다. 연 1000개소를 순환운영한다. 생활 SOC에 접근하기 어려운 중증 장애인 등을 위해서는 1대1 방문 교육도 확대한다. 방문 교육 대상자는 2020년 4000명에서 2022년 1만명 이상이 될 전망이다.

국민의 디지털 역량 수준을 진단하고 수준별·상황별 맞춤형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온라인 기반 디지털 교육 체계 ‘(가칭)디지털 역량 교육 통합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디지털 기본역량 예시/ 과기정통부
디지털 기본역량 예시/ 과기정통부
디지털 격차 해소를 위해 어디서든 이용할 수 있는 인터넷 환경을 조성한다. 정부는 2022년까지 주민센터, 마을회관 등 공공장소 4만1000곳에 공공 와이파이를 신규 설치한다. 인터넷 이용이 어려운 농어촌 마을 1300여개 지역에 초고속인터넷망을 구축한다.

고령층·장애인에게 필요한 스마트 기기와 통신료도 지원한다. 장애인·고령층의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무인정보단말(키오스크)의 범위도 단계적으로 의무화한다.

감염병 등 국가재난 상황에서 학교나 급식소가 폐쇄돼도 취약계층에 대한 급식지원이 끊기지 않도록 공공의 수급자 데이터와 민간의 배달 서비스를 연결하는 플랫폼 구축도 추진한다. 현재 민간 배달앱 업체와 협의 중이며, 내년 구축을 목표로 한다.

취약계층에 대한 디지털 기반 일자리 창출을 위해 AI 학습용 데이터 구축 지원 사업 선정시 장애인, 경력단절여성 등 취약계층을 고용하는 기업에 올해부터 가산점을 부여한다.

박운규 과기정통부 정보통신정책관은 "디지털 격차 문제에 대한 심각성이 코로나19 이후에 마스크앱 이용 문제 등 여러 측면에서 드러났다"며 "정부가 지원 예산을 대폭 늘린 것도 사회 전체가 디지털 포용의 중요성을 인지했기 때문에 가능했으며, 지금과 같이 꾸준한 관심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