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바마케어 확대’와 ‘약가인하’ 공약을 내세운 조 바이든 미국 민주당 대통령 후보의 승리가 유력해지면서 바이오주가 강세다. 진단키트 업체와 마스크 업체에 이어 복제약(제네릭), 바이오의약품 복제약(바이오시밀러) 관련 기업이 수혜를 톡톡히 볼 것이란 기대감이 부푼다.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 픽사베이
버락 오바마 미국 전 대통령(왼쪽)과 조 바이든 민주당 대통령 후보/ 픽사베이
"코로나19 진단 무료"에 관련 기업 수혜 전망

6일 외신에 따르면 조 바이든 민주당 후보가 미국 대선의 최종 승자로 유력하다. 이에 따라 국내 업계에선 우리나라 진단키트 업체와 마스크, 의료보호장비, 의료기기업체 등이 탄력을 받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전국민 무료 진단 및 의료 종사자 보호장비 공급 등 지원책이 폭 넓어지면 관련 수출도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트럼프 대통령과 조 바이든 후보의 공약이 배경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백신·치료제 개발에 초점을 두는 반면 바이든 후보는 진단과 보호장비 공급 등 지원책에 초점을 맞췄다.

실제 미국 백신과 치료제는 트럼프 대통령의 ‘초고속 작전(Operation Warp Speed)’ 아래 개발 단계가 한층 가속화됐다. 초고속 작전은 백신 개발을 순차적으로 진행하지 않고 동시 진행(임상 2상과 3상을 동시 진행하는 식)해 개발을 가속화하는 방식이다. 현재 모더나와 존슨앤드존슨 등 제약사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초고속 작전 지원을 받고 코로나19 백신 임상을 진행 중이다.

바이든 후보는 백신과 치료제 개발보다는 진단과 보호장비 공급 등 ‘지원’에 초점을 둔다. 아무리 속도를 내더라도 내년 중반까지는 세계인에게 효과와 안전성을 모두 갖춘 코로나19 백신이 보급되기 힘들다고 보기 때문이다.

그는 앞서 대선 토론에서 "내년 중반까지 다수 미국인에게 가용할 백신이 있다는 전망은 없다"며 "코로나19 바이러스 최악은 아직 오지 않았으며 미국은 어두운 겨울로 접어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에 대한 분명한 계획이 없다"고 지적했다.

오바마케어 부활, 제네릭·바이오시밀러 수출 날개달까

오바마케어 부활도 기대되는 대목이다. ‘국가재정 부담’을 이유로 오바마케어 폐지를 주장하는 트럼프 대통령과 달리 바이든 후보는 오바마케어 확대를 고려 중이기 때문이다.

오바마케어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이 주도해 2010년 출범한 미국 의료보험 개혁 법안이다. 민영보험에 의존하는 기존 의료보험 시스템 대신 국민 건강보험 가입 의무화가 목표다. 미국 건강보험에 가입하지 못하는 저소득층에 보험혜택을 주고 중산층에는 보조금을 지급하는 식으로 의료비 부담을 낮추는 게 골자다.

바이든 후보는 오바마케어를 부활시키면서 현재 91.5% 수준인 미국인 보험 가입률을 97%까지 끌어 올리겠다는 목표다. 보험 제공이 불가능한 소규모 사업체에 메디케어(노인 의료보험제도)와 유사한 공공 옵션을 제공하고, 메디케어 가입 연령을 기존 65세에서 60세로 낮춰 수혜받는 노년층을 확대하겠다는 계획도 내놨다.

보험 수혜층이 증가하면 국가 재정도 증가한다. 바이든 후보는 약가 규제와 인하 정책으로 해당 이슈를 해결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그는 의약품 접근성을 확대하는 차원에서 고품질 복제약 사용을 권장하겠다고 밝혔다. 오리지널 의약품에 비해 가격이 합리적인 제네릭과 바이오시밀러 수출이 확대될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는 이유다. 이같은 전망에 5일 외국인들은 바이든 후보 쪽으로 승부수가 기울자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주식을 대거 사들였다.

이 밖에도 국내 제약사의 기술수출이 증가할 수 있다는 기대감도 나온다. 바이든 후보가 제약사들의 신약 연구개발 관련 투자에 긍정적인 반응을 내비친 데 따른 것이다. 키움증권은 "(바이든의) 연구개발에 대한 지원 확대 정책은 국내 제약사의 기술수출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고 했다.

이혜린 KTB 투자증권 제약바이오 팀장은 "트럼프와 바이든 둘다 의료비용 절감을 위한 약가규제 정책과 의약품 수입 허용, 제네릭·바이오시밀러 출시장려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며 "바이든이 당선되는 경우 의료 커버리지가 확대되면서 긍정적 영향이 일시적으로 부각될수 있으나 반대급부로 약가 규제 정책도 만만치 않게 전개될 수 있어 긍·부정적 영향이 혼재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