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 등 바이오헬스 분야 주요 기업이 2023년까지 10조원 규모의 투자를 진행한다. 정부는 지원자로서 나선다. 개별 기업 투자 성공과 산업 전반의 성장으로 연결되는 선순환 구조 형성을 위해서는 지원자로서의 정부 역할이 중요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18일 정부는 인천 송도 연세대 국제캠퍼스에서 바이오헬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기술역량 강화를 위한 전략을 발표하며 이 같이 밝혔다.

이 자리에서 인천시는 국내 바이오 기업과 함께 10조원 규모의 추자를 진행할 계획임을 알렸다. 분야별 투자 규모는 의약품(8조4000억원), 의료기기(5000억원), 헬스케어(1800억원) 순이다. 헬스케어 분야는 규모는 작지만 증가 속도가 가장 빠를 것으로 전망된다. 기업들이 투자 계획을 성공적으로 이행할 경우 2023년까지 연평균 약 20%의 생산 증가와 약 9300명 규모의 신규 고용 창출 전망된다.

정부는 민간의 투자가 성공하고 그 성공이 산업 전반 성장으로 선순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 돕겠다는 목표다. 특히 정부는 연구개발(R&D), 생산 투자 효과를 높이기 위해 ▲ 소·부·장 자급화 등 의약품 생산역량 내실화 ▲의료기기 패키지 시장진출 ▲ 데이터활용 확대‧디지털헬스케어 서비스 확산 ▲ 지역 기반 고도화 등 개별 기업 차원에서는 해소 어려운 성장 기반 강화에 총력을 기울일 방침이다.

또 빠른 기술 변화와 융합 트렌드에 대응하기 위해 ▲바이오기술 융합 가속화 ▲핵심기술 선제적 확보 ▲연구개발 기반 확충 등에 나선다. 우리 기업이 미래에도 지속 성장하고 산업이 도약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적 기반도 조성을 하겠다는 목표다.

정부는 이를 위해 우선 바이오 산업 사업화 촉진 및 지역기반 고도화 전략을 내놨다. 의약품·의료기기·디지털 헬스케어 분야별로 기업 기술개발·생산 투자 성공에 밀접한 영향을 미치는 사업화와 시장진출 촉진 지원 강화한다. 지역 클러스터를 지역 특성에 맞게 전략 육성하고, 기업 지원 역량을 강화하는 한편 바이오헬스 지역기업의 성장을 촉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의약품은 업계의 가장 큰 요구였던 인력양성에 힘을 쏟는다. 올해 연세대 국제캠퍼스 내에 '바이오 인력양성센터'를 구축하고 2024년부터 개발·공정 인력을 연 2000명을 양성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R&D에서 인·허가, 생산으로 이어지는 가치사슬 단계별로 전문인력을 적기에 공급해 기업의 성장 기반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원부자재와 소형 장비 국산화를 위해 인공지능(AI) 등을 활용한 '의약품 제조혁신센터'를 구축한다. AI, 3D 조직칩 등을 이용해 신약개발 기간과 비용을 단축하는 등 기업의 개발 리스크를 완화할 방침이다.

의료기기는 내수시장 점유율을 확대하고자 병원과 기업의 공동 R&D 발굴·개발을 지원한다. K-방역 패키지(방역서비스-기기), 병원차(자동차-바이오헬스)와 같은 패키지형 수출 지원을 강화하는 한편 전자약, 디지털치료제 등 미래 유망 분야에 대한 선제적 R&D 투자를 늘린다.

디지털 헬스케어는 100만명의 유전체·임상정보 관련 빅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하고 가명처리 표준화 기술을 개발해 데이터 활용의 편의성을 높이기로 했다. 또 환자 안전과 진료 연속성을 위해 도입한 전자의무기록(EMR) 인증제를 확산하는 등 바이오헬스 데이터 표준화에도 속도를 낸다.

바이오 연구개발 고도화 전략도 내놨다. 바이오 기술의 융합 확대를 통한 신기술, 신산업 창출 활성화와 바이오 핵심기술 선제적 확보를 통해 기술 경쟁력을 제고하고, 이를 가속화하기 위해 바이오 연구혁신 인프라 고도화 추진한다는 목표다.

한편 정부는 이날 전략 발표와 함께 바이오기업(삼성바이오로직스·셀트리온), 바이오 소재·부품·장비 기업(정현프랜트·위아텍), 연세대 등과 '세계 최고 수준 바이오생태계 구축을 위한 협력 MOU'를 체결했다.

유진상 기자 jinsang@chosunbiz.com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