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티브엑스 설치 필요 없다…홍채·지문 등 생체 정보로 인증
‘가입건수 6646만건’ 민간 인증서, 이미 공인인증서 제쳐

공인인증서 시대가 막을 내렸다. 10일 전자서명법 개정안 시행에 따른 것으로 1999년부터 이어진 21년 간의 독점이 끝났다.

기존 공인인증서는 '공동인증서'로 이름을 바꾼다. 카카오, 네이버, 통신사 등 민간 전자서명 인증서와 경쟁하게 된다. 하지만 당장 민간 인증서가 모든 금융 활동에 인증하지 못한다. 민간 인증서를 타 금융사나 핀테크 기업이 인정해줘야 한다.

가장 눈에 띄는 변화는 '엑티브엑스'다. 더는 엑티브엑스와 키보드 보안프로그램을 별도 설치할 필요 없다. 10자리에 달하는 복잡한 비밀번호도 요구하지 않는다. 대신 홍채, 지문 등 생체 정보나 간편 비밀번호(PIN)로 인증할 수 있다. 내년 1월 예정된 2020년 연말정산부터 본격적으로 민간 인증서를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민간 인증서 시대가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민간 인증서 시대가 열린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편한 서비스가 최고" 민간 인증서 발급 수 이미 6646만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11월 말 기준 민간 전자서명 서비스 발급 수는 6646만건이다. 기존 공인인증서 4676만건을 제쳤다. 2018년 1월 정부가 공인인증서 폐지 방침을 공식화한 이후 3년 만에 상황이 변한 것이다.

현재 전자서명 인증서 서비스는 카카오페이, 은행연합회(뱅크사인), 비바리퍼블리카(토스), 통신 3사(패스), 네이버, 국민은행(KB스타뱅킹), NHN페이코(페이코) 등 총 7개 사업자가 제공하고 있다. 다만 대부분의 민간 인증서는 각 플랫폼 서비스에서만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다. 금융실명법 수준의 실명 확인 절차 없이는 금융 거래 사용에 제한이 생길 수 있다.

기존 공인인증서 역시 공동인증서로 갱신해 계속 사용할 수 있다. 또 금융결제원은 '금융인증서'를 내놨다. 금융인증서는 인증서 자체를 클라우드에 보관해 휴대할 필요가 없고, 3년간 유효하다. 자동 갱신 기능도 지원한다. 기존에는 1년마다 갱신해야 했다.

특히 대부분 금융기관과 정부·공공기관에서 이용할 수 있어, 본격적으로 민간 인증서가 활용되기 전 편리함을 제공할 것으로 보인다.

송주상 기자 sjs@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