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6세대(6G) 이동통신 기술 확보를 위해 2021년부터 5년간 1917억원(국비 1438억원, 민자 479억원)을 투입한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7일 심화하는 글로벌 기술경쟁 속에 미래 이동통신 네트워크 주도권 선점과 비대면·디지털화 선제대응을 위해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본격 추진한다고 밝혔다.

6G 핵심기술개발 사업개요 / 과기정통부
6G 핵심기술개발 사업개요 / 과기정통부
이동통신 인프라는 디지털 뉴딜의 한 축인 ‘데이터 고속도로’의 핵심이자, 국민 편의는 물론 사회와 산업 발전의 필수 기반 기술이다.

이동통신 시장에 대한 세계시장 주도권 확보를 위해서는 한발 앞선 기술개발과 표준 선점이 필수다. 최근 미국・중국・유럽 등 세계 주요국들은 5G 다음 세대 기술인 6G 선점 경쟁에 돌입한 상황이다.

과기정통부는 2018년 9월, ‘6G 핵심기술개발사업’ 예비타당성 조사에 착수해 전문가 의견 수렴과 대국민 공청회 등을 통해 중점 추진과제를 발굴했다. 2020년 4월, 향후 5년간(21년~25년) 총 2000억원 규모의 예비타당성 조사가 최종 통과했다.

제12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에서 ‘6G 시대 선도를 위한 미래 이동통신 R&D 추진전략’을 확정해 발표했다.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2021년 신규로 반영하고, 지난 2020년 12월 18일부터 사업공고를 시행했다.

과기정통부는 6G 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저궤도 위성통신 기술개발 등 민간에서 적극적으로 투자하기 어려운 도전적이고 선도적인 분야에서의 기술 개발을 중점 추진할 예정이다.

5대 중점분야 9대 전략기술을 중심으로, 2021년에는 초성능‧초대역 분야 108억원, 초공간 분야 23억원, 초정밀·초지능 분야 33억원 등 총 11개 세부과제에 164억원을 지원한다.

특히, 특허청과 협력해 구축한 표준특허 전략맵(표준특허 확보 가능성이 높은 기술을 집중 발굴)을 바탕으로, IP-R&D 방식을 적용해 기업‧기관에 R&D 자금과 표준특허 확보전략을 패키지로 지원한다.

6G 기초연구 강화와 전문인재 양성을 위한 대학 중심의 6G 연구센터를 선정하고 지원하는 등 연구기반을 조성에도 힘쓴다.

과기정통부는 산·학·연 전문가의 역량 결집을 통한 성공적 사업 수행을 위해, 3월부터 민·관이 함께 참여하는 ‘6G R&D 전략위원회’를 구성해 운영할 예정이다.

산업계 및 관련 전문가의 현장의 목소리를 듣고 사업 전반에 대한 목표와 추진현황, 성과를 공유하고 검증할 계획이다. 국제 표준화 동향, 시장 요구사항 등을 고려해 필요하다면 투자대상 핵심기술도 조정해 나간다.

기술개발이 완료되는 2026년부터는 5G+ 5대 서비스에 Pre-6G 기술(상용화 전)을 적용하는 6G-Upgrade 시범사업을 추진하고, 이를 통해 개발된 기술이 서비스로 안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신규사업 공고는 2월1일까지 한 달쯤 진행되며, 8일 온라인으로 사업설명회를 개최한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