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경제 시대의 핵심 자원으로 불리는 위치정보 2020년 국내 산업의 매출액 규모는 2조331억원이라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빅데이터 분석서비스의 매출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위치정보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위치정보 이미지/ 아이클릭아트
한국인터넷진흥원은 23일 위치정보를 활용하는 국내 사업자 현황 및 산업 시장 규모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한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KISA는 2020년 6월말 기준 방송통신위원회에 허가·신고된 1565개 위치정보사업자를 대상으로 같은 해 7월부터 10월까지 온라인·방문·전자우편 등을 이용한 설문조사 방법으로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 실태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 2020년 국내 위치정보 산업의 매출액 규모는 2조331억원이며, 2021년은 1.23배 성장한 2조5177억원으로 전망됐다.

부문별 매출액 규모는 ‘대인·대물 위치추적 및 관제서비스’가 8644억원(42.5%), ‘생활 및 엔터테인먼트 서비스’가 5091억원(25%) 순으로 조사됐다. 매출액 증가율은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가 128억원에서 240억원으로 86.7% 증가해 전년 대비 가장 높았다.

응답자들은 향후 ‘빅데이터 분석 서비스’(54.3%)가 가장 활성화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위치정보와 융합 발전할 분야는 ‘교통’(41.1%)과 ‘물류’(34.8%)로 전망했다. 또 4차 산업혁명 확산과 더불어 앞으로는 위치정보 단말로 ‘자율주행차’, ‘드론’, ‘로봇’ 등의 단말이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위치정보사업자의 경영 애로사항은 ‘개발비용 부족’(18.6%), ‘국내 법·제도 규제’(14.9%), ‘전문인력 부족’(13.7%) 등으로 조사됐다. 특히 응답자들은 법·제도와 관련해 개인위치정보 수집·이용·제공시 동의 획득(42.1%), 개인위치정보 수집 후 통보 절차(제3자 제공 등)(32.8%) 부분에서 어려움을 토로했다.

정부지원이 필요한 사항은 ‘공공 인프라 및 공공 데이터 민간 개방(36.4%), 위치정보 관련 R&D 과제 확대’(31.8%)라고 답했다.

권현오 KISA 이용자보호단장은 "위치정보 사업자들의 과반수(69%)는 매출액 50억 미만의 소기업으로, 위치정보 산업 활성화 및 기반 마련을 위해 꾸준한 지원이 필요하다"며 "본 조사결과를 반영해 스타트업 지원, 맞춤형 컨설팅 등 실효성 있는 사업자 지원을 이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류은주 기자 riswell@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