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터넷진흥원, 사업자 선정 작업 착수
‘DID 연합체’ vs ‘SK C&C 컨소시엄’

정부의 블록체인 기반 코로나19 백신 접종증명서 개발 사업자가 DID(분산신원확인) 연합체와 SK C&C 컨소시엄 간 경쟁으로 좁혀질 것으로 보인다.

2일 정부 및 업계에 따르면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최근 민간으로부터 백신 예방접종증명서 발행을 위한 사업 추진 제안서를 받았다. 사업 참여를 밝힌 곳은 SK텔레콤과 라온시큐어, 아이콘루프, 코인플러그 주도의 DID 연합체와 SK C&C·야놀자·람다256으로 구성된 민간 컨소시엄 등이다.

/픽사베이
/픽사베이
블록체인 접종증명 사업은 질병청을 비롯한 관계부처가 참여해 함께 만드는 구조로 짜여졌다. 기존 예방접종증명서를 블록체인으로 구현해 보안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잡았다. 향후 백신 여권에 대한 국가별 정책적 고려사항이 논의되면 해외 통용 가능한 백신 여권 분야까지도 확대한다는 목표다. 민간이 정부와 어떤 방식으로 협력해 나갈지는 정해지지 않았다.

KISA 관계자는 "(블록체인 접종증명 사업을 위해) 질병청 실무자와 만난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구체적으로 확인해 줄 수 없다"고 말했다.

복수의 관계자에 따르면 KISA는 방역당국과 백신 예방접종증명서에 블록체인 및 DID 기술 도입을 논의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본격화되면서 백신 접종 여부가 해외 여행 및 경제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할 수 있는 만큼 이를 명확히 증명하는 시스템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해외에서는 이에 디지털 백신 여권에 대한 관심을 높인다.
방역당국 역시 블록체인 기반 예방접종증명서에 기대를 품는 모양새다. 정경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 예방접종관리반장은 최근 브리핑에서 "블록체인 기반 예방접종증명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블록체인으로 민감정보 관리 및 위·변조 해결 가능

현재 우리나라 방역당국은 독감 백신 등 타 백신과 마찬가지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대해서도 백신 예방접종증명서를 발급하는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하고 있다. 다만 실효성은 아직 검증해야 한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앞서 "예방접종증명서를 가지고 입국하는 이들에 대한 격리 면제 등 관리기준지침 변경을 두고 논의하고 있다"면서도 "증명서의 국내 활용처와 실효성 기준에 대해서는 아직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방역당국은 코로나19 감염증의 유행 특성을 고려해 증명서를 확보한 접종자에게는 자가격리를 면제시켜주는 등의 방안을 고려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가능성에는 의문이다. 각기 다른 백신 효과와 면역력 지속 기간에 대한 불확실성, 위조 증명서 발행과 개인정보 유출 등 해결해야 할 과제가 산적해 있기 때문이다.

블록체인을 다루는 민간 기업들이 KISA에 관련 시범사업 제안서를 제출한 배경이다. 당장 위조 증명서 발급 문제와 개인정보 유출은 블록체인으로 해결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복수의 업계 관계자는 이번 시범사업으로 민감한 개인정보와 일부 의료정보가 블록체인으로 안전하게 관리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사안에 정통한 관계자들은 "백신 예방접종증명에 관심이 높은 정부 관계부처가 참여하는 구조인 만큼, (시범사업이) 통과될 가능성이 높다"며 "블록체인 기반 백신 예방접종증명서는 그간 문제점으로 꼽혀온 위조 증명서 발행과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입을 모았다.

이들은 또 블록체인 기반 백신 예방접종증명서가 자리를 잡으면 백신 여권 분야까지도 사례가 확장될 수 있다고 봤다. 백신 여권이란 코로나19 등 바이러스 예방 접종을 받았음을 증명하는 해외 통용 디지털 증명서다. 각국 항공사와 공연장, 식당 등 모든 곳에서 일관되게 통용될 수 있다. 국제적으로는 스마트폰 앱 QR코드와 DID 방식 등이 논의되고 있다.

국제항공운송협회(IATA)는 백신여권인 ‘트래블패스’를 시범운영하고 있으며 이스라엘 정부는 QR코드 방식의 그린패스 증명서를 발급 중이다. 영국은 백신 유통에 블록체인 기술을 도입하는 한편 백신 여권 도입도 논의 중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블록체인 기반 백신 예방접종증명서 및 백신 여권은 민감정보 유출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면서 코로나19 경제활동 불확실성의 범위를 줄여줄 수 있다"며 "도입만 된다면 자유로운 경제활동을 하는데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김연지 기자 ginsburg@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