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년 4월 3일은 한국 통신 역사상 가장 바쁜 하루였다. 미국과 5G 세계 최초 상용화를 두고 막판까지 눈치작전이 치열했다. 한국은 같은 날 오후 11시 세계 최초로 5G를 상용화하며 ‘1위’ 타이틀을 획득했다. 그로부터 2년이 흘렀다. 한국 5G 가입자 수는 2월 말 기준으로 1300만명을 넘어섰고 연내 2000만 시대 개막을 눈앞에 뒀다. 5G는 향후 자율주행차와 스마트팩토리, 스마트팜 등 다양한 산업에 활용되며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시대를 열 핵심 인프라로 자리 잡을 전망이다. IT조선은 총 3부작의 기사를 통해 상용화 2년째를 맞은 5G 현황 분석을 통해 앞으로의 산업 지형을 분석해봤다. <편집자주>

5세대(5G) 이동통신 서비스가 상용화한 지 2년이 지났다. 그간 5G 커버리지가 확대되고 지원 단말 수도 늘어나면서 국내 5G 가입자 수는 1300만명을 넘어선 상황이다. 정부와 이동통신 3사는 올해 5G 전국망 조기 달성과 함께 5G 융합 생태계 조성에 박차를 가한다. 5G 특화망에 따른 28기가헤르츠(㎓) 대역 활성화도 내다본다. 한국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국가라는 타이틀과 함께 첫 전국망 5G를 보유한 국가 자리에 도전한다.

5G 네트워크 상징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5G 네트워크 상징 이미지 / 아이클릭아트
5G 상용화 2년, 국내 5G 가입자 수 1300만명 돌파

2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와 이동통신 업계에 따르면 5G 상용화 3년차를 맞이한 시점에서 상용화 초기 대비 5G 서비스 확장세가 두드러진다. 정부와 이통 3사는 2019년 4월 3일 상용화 시기를 다투던 미국 버라이즌에 앞서 세계 최초로 5G 상용화를 발표한 바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에 따르면 2월 기준 국내 5G 서비스 가입자는 1366만2048명이다. 2019년 4월 5G 서비스 첫 상용화 후 그해 말 466만8154명의 가입자를 확보한 것과 비교하면 2년도 되지 않아 3배 가까운 성장세를 보였다. 이제는 국민 다섯명 중 한 명이 5G 서비스를 이용한다.

5G 상용화 첫해 대비 5G 네트워크를 지원하는 스마트폰 모델도 다양해졌다. 기존에 일부 고가의 플래그십 모델만 5G를 지원한 것과 달리 이제는 여러 중저가 모델이 5G 네트워크를 지원한다. 삼성전자가 올해 국내 출시한 6종의 스마트폰 중 절반 이상인 4종이 5G 지원 모델인 것이 일례다.

LG유플러스 직원이 5G 기지국을 설치하고 있다. / LG유플러스
LG유플러스 직원이 5G 기지국을 설치하고 있다. / LG유플러스
첫 5G 상용화 국가에서 5G 품질 1등 국가로

정부와 이동통신 3사는 그간 5G 커버리지와 속도 개선에 주력했다. 지난해 서울과 6대 광역시를 기준으로 주요 다중이용 시설과 교통 인프라에 5G 커버리지를 확대했다면, 올해는 85개시 주요 행정동으로 범위를 확대해 5G 전국망 조기 구축을 추진한다.

이통 3사는 정부와 협의한 5G 기지국 구축 계획 대비 빠른 속도로 기지국 수 확대에 나선 상황이다. 이통 3사와 정부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이통 3사가 각각 2만2000대의 5G 기지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현재 이통사별로 5만~6만대가량의 5G 기지국을 구축하고 있다. 1월 기준 국내 총 5G 기지국 수는 17만국이다.

정부와 이통 업계는 이같은 노력으로 첫 5G 상용화 국가라는 의미에서 나아가 5G 품질 서비스 1위라는 성과도 달성하고 있다고 강조한다. 시장조사업체 옴디아에 따르면 2020년 3월 기준 스위스, 쿠웨이트, 미국, 중국, 영국 등 22개 국가 중 한국이 5G 서비스 1위를 차지했다.

5G 다운로드 속도도 상위권이다. 네트워크 성능 분석 기업 루트 메트릭스는 서울과 취리히, 뉴욕, 런던 등 주요 도시의 5G 다운로드 속도 중앙값을 비교한 결과 서울이 476.5메가비피에스(Mbps)로 1위를 차지했다고 밝혔다. 과기정통부가 2020년 12월 공개한 5G 품질 평가 결과를 보면 지난해 5G 다운로드 속도는 상반기 656.56Mbps에서 하반기 690.47Mbps로 향상했다.

정부가 제시한 올해 5G+ 전략 세부 내용 / 과기정통부
정부가 제시한 올해 5G+ 전략 세부 내용 / 과기정통부
"5G 융합 생태계 조성 원년 맞았다"

정부와 이통 업계는 올해를 5G+ 융합 생태계 조성 원년으로 본다. 5G 서비스 확산과 함께 연관 신사업 육성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글로벌 5G 시장에서의 영향력 확대도 내다본다. 주요 대도시를 시작으로 5G 전국망 구축도 추진한다.

과기정통부는 이를 위해 총 1655억원을 투자해 5G+ 이노베이션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 등의 실감 콘텐츠와 자율주행차, 스마트공장, 스마트시티, 디지털 헬스케어 등 5대 핵심 서비스를 육성하고자 산·학·연·관이 머리를 맞대는 프로젝트다.

28㎓ 대역에서 민간 사업자에게도 주파수를 할당하는 5G 특화망 사업도 진행한다. 5G 특화망은 건물과 공장 등 특정 지역에서 사용하고자 구축한 5G망을 말한다. 기존에는 이동통신 사업자만 주파수를 할당받을 수 있었지만 이를 민간까지 확대해 28㎓ 고대역의 5G 서비스 활성화에 나선다.

이통 3사는 서비스 중인 3.5㎓ 주파수 대역에서 5G 단독모드(SA) 상용화에 나선다. 데이터와 데이터 처리 신호를 모두 5G망에서 처리하는 방식으로 활용 중인 비단독모드(NSA) 대비 데이터 처리 효율이 약 3배 높다.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는 각각 연내 SA 상용화를 위한 시범 사업 등을 진행하고 있다.

조경식 과기정통부 차관은 "세계 최초 5G 상용화 이후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으며 지금은 더 분발할 시기다"며 "산업계의 선도 투자 등 민간의 노력이 필요하며, 정부도 이를 적극 지원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창출하겠다"고 말했다.

이통 업계 관계자는 "5G 통신망은 대도시와 중소도시 중심으로 먼저 구축된 후 지역으로 확장될 예정이다"며 "LTE 때를 고려할 때, 5G 전국망 1위 역시 한국이 차지할 것으로 전망한다"고 말했다.

김평화 기자 peaceit@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