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완성차 업계가 우려하던 7월 노사 리스크가 현실화되는 추세다. 기업이 법정관리에 들어간 쌍용자동차를 제외하고, 현대자동차그룹과 르노삼성자동차·한국GM 모두 노조와 사측과의 긴장감이 고조된다. 코로나 바이러스로 인한 2020년 기저효과에서 탈피해 각자 올해를 재도약의 시기로 삼는 완성차 업계지만, 노사 리스크가 장기화될 경우 내수 시장 실적과 글로벌 완성차 시장에서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동력을 위협받을 수 있다는 걱정어린 목소리가 나온다.

현대차 아산공장 생산라인 전경 / 현대자동차
현대차 아산공장 생산라인 전경 / 현대자동차
4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 노조는 다음주부터 조합원을 대상으로 쟁의행위 찬반투표를 진행할 예정이다. 6월 30일 노조와 현대차가 제 13차 임금단체협상에서 차이점을 좁히지 못한 것에 따른 결과다.

현대차 측에서는 노조에 기본급 상향을 포함해 ▲품질향상격려금 200만원▲성과금100%와 300만원지급 등 총 1000만원 내외의 인상안을 제시했다. 노조측에서는 기본급 9만9000원 인상안에 더해 정년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특히 최근 전동화 시대 완성차 업계 일자리 감소 등을 우려한 노조측에서 현재 만 60세인 정년을 국민연금을 받을 수 있는 연령인 만 64세까지 늘려줄 것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노조측에서는 현대차에 아직 협상의 여지가 있음을 열어놓은 것으로 알려졌지만, 노사가 합의해 실패할 경우 현대차는 3년만에 노조 파업을 겪게 된다. 최근 전동화 시대에 앞서 전기차 미국 생산라인 추가 등 규모 확장을 노리고 있는 현대차 입장에서는 뼈아픈 일이다.

현대차는 올해 MZ세대가 주축이 된 현대차 사무·연구직 노조도 고려해야하는 상황으로, 현대차 사무·연구직 노조는 기존 노조와 달리 정년연장 요구보다 합당안 성과보상안 제시를 요구의 방점으로 찍고 있다. 현대차 사무·연구직 노조는 올해 임단협 교섭권은 없지만, 현대차 입장에서는 기존 노조에 더해 현대차 사무·연구직 노조의 목소리도 고려해야하다보니 과거보다 깊은 고민을 할 수 밖에 없다는 것이 업계 의견이다.

르노삼성자동차와 한국GM 역시 노사 리스크 현실화를 걱정하고 있다. 르노삼성 노조의 경우 민주노총 산하 금속노조 가입을 노리고 있다. 르노삼성 노조의 민주노총 가입을 위해서는 전체 조합원 과반수 이상이 투표에 참여한 상태에서 3분의 2 이상의 찬성표가 나와야한다. 르노삼성 노조는 2018년과 2020년에도 가입을 추진했으나 무산된 바 있다.

완성차 업계 한 관계자는 "산별 노조 전환은 일반적으로 기업 노조에서 더 강력한 쟁의권이나 투쟁을 목표로 추진하는 것이다"라며 "각 사업장 환경에 맞는 요구안을 노조측에서 제시할 필요가 있는데 교섭이 더 난항을 겪을 수도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XM3 수출을 진행하고 있는 르노삼성에게 있어서는 노사 갈등 문제가 더 수면위로 올라올 경우, 르노 본사의 인식이 안좋아 질 수 있어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파업 위기를 겪는 것은 한국GM도 마찬가지다. 완성차 업계에 따르면, 한국GM 노조는 1~5일 간 쟁의행위 찬반 투표를 실시한다. 한국GM과 한국GM 노조에서는 여전히 교섭을 진행중인 상황이지만, 업계는 사실상 파업으로 가는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완성차 업계 또 다른 관계자는 "계속된 쟁의행위와 노사 갈등이 리스크로 다가올 수 있는 요소이다보니 조속하게 협상을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한국GM에서도 트레일 블레이저 생산을 메인으로 삼고있고, 창원공장 CUV 생산도 가시화되는 추세인만큼 이슈가 발생하지 않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이민우 기자 mino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