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바이오로직스와 SK팜테코를 필두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에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 진출 선언이 이어지고 있다.

대기업과 중견기업 모두 세포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를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채택하면서 바이오공장 각축전 양상을 보인다.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 삼성바이오로직스
삼성바이오로직스 3공장 전경 / 삼성바이오로직스
관련업계에 따르면 CDMO란 위탁생산(CMO)과 생산을 위한 위탁 개발(CDO)이 통합된 시스템이다. 특히 바이오 CDMO는 생물체에서 유래된 물질이나 생물체를 이용한 생물학적 제제의 원천 물질이 위주다.

세계적으로 급성장하는 바이오의약품 시장과 바이오신약의 핵심기술 소유자 대부분이 스타트업 또는 벤처기업이다. 기술은 고도화됐으나, 생산에 필요한 대규모 시설과 자본의 한계를 위탁을 통해 극복하는 움직임이 많아지면서 이러한 추세에 따라 CDMO 사업은 더욱 활기를 띠고 있다.

올해는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사업이 더 각광받을 전망이다.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CDMO 시장 전망이 긍정적이기 때문이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세포·유전자 치료제 임상건수는 2016년보다 2020년에 3배 늘었다. 그만큼 세포·유전자 치료제 개발을 하려는 기업들이 많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CDMO 시장 역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바이오협회는 세포‧ 유전자치료제 CDMO 시장이 2019년 기준 1조8180억원에서 연평균 31.0% 성장해 2026년 12조598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시장을 선점하고자 빠르게 움직이고 있는 기업은 삼성바이오로직스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최근 기자간담회를 통해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의 진출을 공고히 했다.

삼성바이오로직스는 현재 항체의약품 CMO 중심인 사업을 mRNA, pDNA, 바이럴벡터 등의 유전자·세포치료제까지 확대하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를 위해 삼성바이오로직스는 mRNA, 세포치료제 등을 생산할 수 있는 5공장을 연내 착공한다는 계획이다.

SK는 자회사 SK팜테코를 통해 최근 미국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기업 CBM에 3억5000만달러(4200억원)를 투자하며 2대 주주에 올라섰다. 지난해 3월 프랑스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기업 이포스케시를 인수한 지 9개월 만이다. 이를 통해 SK팜테코는 유럽과 미국에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기반을 닦아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하겠다는 포부를 갖고 있다.

CJ제일제당 역시 2021년 11월 네덜란드의 CDMO인 바타비아 바이오사이언스(바타비아)의 지분 76%를 2677억원에 인수하면서 시장 진출을 도모했다. 지난해 7월 인수한 마이크로바이옴 기업 ‘천랩’을 통해 출범시킨 CJ바이오사이언스와 함께 바타비아를 양축으로 이끌겠다는 목표다.

차바이오텍은 CMG제약, 차케어스와 컨소시엄을 구성해 판교에 글로벌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공장을 신축하기로 했다. 신규 CDMO 공장에는 총 1105억원의 자금이 투입된다. 비용은 차바이오텍이 50%를 부담하고 CMG제약과 차케어스는 각각 40%, 10% 씩 나눠 투입한다. CMG제약과 차케어스는 차바이오텍의 자회사다.

이전부터 차바이오텍은 CDMO사업 확장을 노력해왔다. 이번 세포·유전자 치료제 CDMO 공장을 신축하게 된 것도 사업 확장의 연장선이라는 게 업계의 평가다.

차바이오텍 관계자는 "미국에서 짓고있는 바이럴 벡터(바이러스 전달체) 제조설비를 갖춘 cGMP(선진 의약품 제조품질 관리 기준) 시설이 거의 완공단계에 있다"며 "향후 판교에 짓는 유전자·세포치료제 CDMO 공장과 연계해 글로벌 시장에 진출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다만 세계에서 세포·유전자 치료제의 허가 사례가 많지 않아 폭발적인 시장 성장을 낙관하기 이르다는 관측도 존재한다. 세계에 승인된 세포·유전자 치료제는 총 84뿐이다. 이는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1% 수준에 불과하다.

업계 관계자는 "제약바이오 업계에 혁신 바람이 불면서 아직 시장이 작더라도 과감한 투자와 결단을 내리는 기업들이 늘고 있다"며 "시장이 자연스럽게 성장하게 되면 당연히 회사를 이끌 새로운 성장동력이 되겠지만, 언제쯤 수요가 폭발할지 기다려야 한다는 점이 큰 리스크로 작용할 전망이다"고 설명했다.

김동명 기자 simal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