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이하 금감원)이 한국형 빅테크 감독 방안을 마련한다. 은행권과 빅테크 간 균형있는 감독을 예고하고 나섰다.

김미영 금감원 기획경영담당 부원장보. / 금융감독원 유튜브 갈무리
김미영 금감원 기획경영담당 부원장보. / 금융감독원 유튜브 갈무리
14일 김미영 금감원 기획경영담당 부원장보는 ‘2022년도 금융감독원 업무계획 온라인 브리핑’을 통해, "건전한 시장 질서 구축을 위해 ‘한국형 빅테크 감독 방안’ 등 체계적인 감독 체계를 정립한다"고 말했다.

김 부원장보는 또 "디지털화, 기후변화 등 금융 패러다임 변화로 인한 신규 리스크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고 플랫폼 등 신종 판매채널에 대한 감독을 강화한다"고 전했다.

미래 금융과 실물경제는 지원한다. 변화의 속도가 빨라져 기존에 존재하던 것의 경계가 뒤섞이는 ‘빅블러 시대’가 금융업에 도래한 만큼, 금융 혁신 지원에 집중한다는 뜻이다. 혁신금융 서비스 역시 개선시킬 방침이다.

이번 금감원 발표는 지난달 26일 정은보 금감원장이 밝힌 내용을 구체화한 것이다. 정 금감원장은 ‘금융플랫폼 간담회’를 개최해 은행권과 빅테크사와 만나 "동일기능과 동일규제 원칙을 중심으로 빅테크와 금융사 간 규제 차익을 두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그러면서 업계 의견을 반영해 일반 규율체계를 만들겠다는 입장을 전했다.

박소영 기자 sozero@chosunbiz.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