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상파 방송사가 만든 UHD 콘텐츠는 케이블·IPTV·위성 등 유료방송이 서비스 중인 UHD 채널에서 볼 수 없다. 유료방송 업계는 종전처럼 자체 수급한 콘텐츠를 UHD 서비스용으로 제공한다.

LG전자 UHD TV 모습. / LG전자 제공
LG전자 UHD TV 모습. / LG전자 제공
31일 유료방송 업계 한 관계자는 "유료방송에서는 지상파가 만든 UHD 콘텐츠를 볼 수 없다"라며 "양측간 법정 다툼을 벌이고 있는 재송신료(CPS) 관련 이슈가 어느 정도 정리돼야 서비스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지상파 방송사는 5월 31일 UHD 본방송을 시작했지만, 유료방송 업계는 2014년 4월 케이블TV를 시작으로 UHD 방송 상용화에 들어갔다. IPTV는 2014년 9월, 위성방송은 2015년 6월부터 서비스를 시작했다.

유료방송 업계가 운영하는 UHD 채널 수는 IPTV와 위성이 5개씩이고 케이블TV는 1개다. 회사별로 운영하는 채널 수가 많지만, 콘텐츠를 수급·운영하는 데 어려움이 없다는 반응이다. 위성방송 업체인 KT스카이라이프는 스카이TV가 보유한 1000시간 분량의 콘텐츠를 수급 받으며, 다른 채널은 200~800 시간 분량의 콘텐츠를 보유 중이다.

◆ 지상파 방송사, 유료방송에 UHD 콘텐츠 공급할 수 있다지만…CPS 협상이 관건

지상파 방송사는 유료방송 업체가 원할 경우 높은 가격에 UHD 콘텐츠를 공급할 계획이다. 기존 HD 콘텐츠와 비교할 때 고품질이기 때문에 승산이 있다는 입장이다.

정부는 2017년 지상파 방송사가 제작하는 전체 콘텐츠 중 5%를 UHD로 만들고, 매년 비율을 늘려가라고 권고했다. 구체적으로는 2020년 25%, 2023년 50%며, 2027년에는 모든 콘텐츠가 UHD로 제작된다.

하지만 유료방송 측은 당장 지상파 방송사의 UHD 콘텐츠를 이용할 계획이 없다. HD 콘텐츠 재송신료를 놓고 법정 공방을 벌이고 있는데, 이런 상황에서 협상 테이블에 UHD 콘텐츠를 올릴 수 없다는 것이다. 종전처럼 자체 수급한 UHD 콘텐츠를 방송에 사용한다.

유료방송 업계 한 관계자는 "유료방송 업계와 지상파 방송사는 콘텐츠 재송신료를 놓고 법정 공방 중이다"라며 "정부가 UHD 재송신료 관련 법적 장치를 마련한다면 모를까, UHD 콘텐츠를 받기는 어렵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