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중국이 통화스와프 협정 만기 연장에 합의하지 못하면서, 2009년 후 8년여 만에 560억달러(63조6384억원) 규모의 양국 간 통화스와프 협정이 11일 자정을 기준으로 종료했다.

주한미군이 오산 미군기지에 도착한 수송기에서 사드를 내리고 있다. / IT조선 DB
주한미군이 오산 미군기지에 도착한 수송기에서 사드를 내리고 있다. / IT조선 DB
11일 한국은행 등 국내 금융권에 따르면 한국은행과 중국 인민은행은 협정 만기일인 10일까지 실무 협의를 진행했지만, 기간 연장에는 합의하지 못했다. 현시점에도 한국 정부 측은 협상이 진행 중에 있어, 최종 발표를 기다려달라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앞서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는 "기존 협정이 만료되기 전에 협의가 마무리되면 더 좋지만 하다 보면 그렇지 않을 수 있다"며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통화스와프란 외환이 부족해지는 위기 상황이 발생하면 서로 다른 통화를 미리 약정된 환율에 따라 교환하는 거래다. 중국 위안화를 받는 대신 한국의 원화를 중국에 주는 것으로, 외환 보유고가 부족해서 환율이 요동치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통화스와프 협정 연장 협상이 불발된 가장 큰 원인은 사드(THAAD·고고도 미사일 방어체계) 도입에 불만을 품은 중국 정부의 경제 보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양국 간 통화스와프 협정이 종료된 가운데, 협상 주체인 이주열 한은 총재와 김동연 부총리가 미국 워싱턴에서 열리는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중앙은행총재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미국을 방문할 예정이어서, 양국 간 통화스와프 협정 연장 협상 재개까지는 조금 더 시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사안의 민감성을 반영하듯 중국 당국 역시 통화스와프 연장과 관련해서는 공식적인 입장을 발표를 자제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양국 모두에게 통화스와프가 필요한 만큼, 조만간 협상이 재개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겉으로 보기에는 한국 정부가 한·중 통화스와프 연장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모양새지만, 위안화가 기축통화로 자리 잡길 원하는 중국 역시 한국과의 통화스와프 협정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한편, 양국은 2009년 4월 260억달러(29조5646억원) 규모의 계약을 처음 체결했고, 2011년에는 560억달러(63조6384억원)로 확대했다. 2014년에는 다시 협정 기간을 3년 연장했고, 올해 10월 10일 자정을 기점으로 계약이 종료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