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글이 공식 사이트를 모방해 만든 가짜 사이트의 운영자에게 대가를 받고 검색 결과 시 나타나는 리스트에서 해당 사이트를 상단에 올려줬다는 지적이 나온다.

10일(현지시각) 영국 일간지 더타임스에 따르면 도량형 법규를 집행하는 영국 지역자치단체 연합체 '전국거래표준(National Trading Standards·NTS)'은 온라인 이용자가 정부 기관 사이트를 모방해 만든 가짜 사이트에 속아 수백만 파운드의 손실을 봤다고 보도했다.

구글 검색 화면 / 구글 웹페이지 갈무리
구글 검색 화면 / 구글 웹페이지 갈무리
최근 구글코리아는 2일 이해진 네이버 전 의장이 국회 국장감사에서 언급한 "구글도 검색결과 조작과 허위광고 문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주장에 대해 공식 자료를 통해 반박했다.

당시 구글측은 해명 자료에서 "구글은 검색 결과의 객관성과 공정성, 투명성에 대해 매우 자부심을 느끼고 있다"며 "구글 검색 결과는 100% 알고리즘 순위에 기반하고 있고, 금전적 또는 정치적 압력에 영향을 받지 않는다"고 밝혔다.

하지만 더타임스의 보드를 보면, 구글 측 주장은 네이버의 주장에 대해 해명한 것과 정면 배치된다.

더타임스는 이용자가 '여권 갱신'이라는 단어를 검색할 경우 구글은 가짜사이트가 눈에 잘 띄는 곳에 위치하게 햇다.

NTS의 마이크 앤드류스는 "검색 결과에 가짜 사이트가 노출되면서 이들 사이트가 성장하는 구실을 만들어줬다"며 "우리는 가짜 사이트 운영자를 기소할 용의가 있지만 구글 등 검색 엔진도 이를 중단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구글 검색에 'HRMC(국세청) 연락 전화번호'를 입력한 결과 일반요금보다 비싼 분당 3.6파운드(5300원)의 통화료를 부과하는 전화번호가 광고로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한 관계자는 더타임스와 인터뷰에서 "광고 규정에 따르면 진짜 사이트가 있음을 명확히 고지한 후 해당 사이트로 연결되는 링크를 제공해야 한다"고 말했다.

더타임스에 따르면 구글은 2014년 여권 신청, 운전면허 갱신 등 검색결과에서 가짜 사이트 단속을 약속했다. 하지만 다양한 가짜 사이트는 여전히 광고 검색결과 및 일반 검색결과에 노출되고 있다.

구글은 또 2008년부터 자사가 취급하는 상품에 대한 검색 결과를 상위에 올리고 경쟁사의 검색 결과는 아래로 내렸다는 혐의가 있었다. 유럽연합(EU)은 이 문제와 관련해 6월 27일 구글 측에 27억달러(3조원)의 벌금을 부과했다.

마르그레테 베스타거 유럽연합 경쟁담당집행위원은 "구글이 많은 혁신 제품을 만들었지만, 인터넷 검색 부문에서는 독점적 지위를 남용했다"고 말했다.

구글은 EU의 결정에 대해 제소를 고려하고 있다고 밝혔지만 이후 이와 관련한 공식 발표는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