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 전문잡지 마이크로소프트웨어의 최신호는 블록체인 기술과 산업, 보안 그리고 연결된 세상에 대한 이야기(Chain Bigbang, 체인 빅뱅)를 담았습니다. 스팀잇, 리모트 워크, 크립토키티, 블록체인 보안 등 마소 392호의 주요 기사들을 IT조선 독자에게도 소개합니다. [편집자주]

크립토키티(CryptoKitties)는 대중들이 쓸 수 있는 최초의 Dapp(분산 애플리케이션)이자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마비시킬 정도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게임이다. 이전까지 개발됐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들은 거의 다 토큰(Token)의 발행과 거래 용도로만 쓰였기 때문에 직접 블록체인을 이용하는 사람은 많지 않았고, 그마저도 대부분 중앙 거래소를 통해서 암호화폐를 거래하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크립토키티의 등장으로 대중들에게 멀고 어렵게만 느껴졌던 이더리움이 실질적으로 다가오게 됐으며, 크립토키티가 블록체인을 실생활에서 이용하는 방법을 훌륭하게 보여주었기 때문에 많은 사람이 그 가능성에 대해서도 깨달을 수 있게 됐다.

크립토키티 UI.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2호 발췌
크립토키티 UI. /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2호 발췌
이더리움 가상 머신에서 실행해 유효성을 검증하는 프로그램을 스마트 컨트랙트라고 부른다. 스마트 컨트랙트가 보장하는 실행의 유효성 덕분에 이더리움 블록체인 위에서 새롭게 디지털 자산(Digital Asset)을 발행하고 교환하는 것이 가능하게 됐다. 이런 디지털 자산을 '토큰'이라고 부른다.

이더리움 커뮤니티에서는 ERC(Ethereum Request for Comments)라는 이더리움 네트워크를 위한 여러 가지 표준을 정의하는데, 그중에서 화폐로써 쓰이는 토큰의 발행과 교환을 위해 만들어진 가장 대표적인 표준이 'ERC20'이다. 오미세고(OmiseGo), 골렘(Golem) 등 현재 거래소에서 거래되고 있는 많은 코인들과 메인넷(Main Network)을 구축하기 전에 미리 발행됐던 퀀텀(Qtum)이나 이오스(EOS) 같은 코인들도 'ERC20' 토큰으로 먼저 발행됐다. 또한 ICO(Initial Coin Offering)를 진행했던 수많은 코인도 대부분 'ERC20'을 이용한 것이다.

한편, 디지털 자산의 소유권을 보장하는 'ERC721'이라는 새로운 토큰 표준이 등장했다. 우리가 인터넷에서 소유하거나 주고받는 여러 가지 디지털 자산들, 예를 들어 온라인 게임상의 아이템이라던가 카페에서 사용하는 적립 쿠폰 등은 대부분 이용자의 소유가 아니다. 소유권이 없지만 소유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서비스를 이용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디지털 자산이 조작되거나 소멸해도 이용자는 권리를 주장하기가 힘들다.

'ERC721'은 이런 디지털 자산, 그중에서도 수집품에 대한 실제 소유주를 이용자로 만들어주기 위한 표준이다. 'ERC721' 토큰으로 디지털 자산을 소유하게 되면 이더리움 계정(Account)에 토큰이 귀속된다. 이더리움 네트워크상의 모든 노드가 그것을 보장하기 때문에 이더리움 네트워크가 망가지지 않는 한 토큰 보유자는 그 디지털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크립토키티는 'ERC721'을 이용해 디지털 고양이를 수집하거나 교환할 수 있는 게임 플랫폼이다.

각 고양이에게는 고유한 특성(Feature)인 쿨다운(Cooldowns)과 세대(Gen), 그리고 유전자(Gene)가 있다. 쿨다운은 새끼를 출산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고, 교배를 많이 할수록 쿨다운이 길어진다. 세대는 COO가 생산한 'Gen0' 고양이로부터 세대가 얼마나 내려왔는가를 나타내는데, 세대가 높을수록(Gen0에 가까울수록) 쿨다운이 짧기 때문에 빠르게 새끼고양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특이 형질들이 'Gen0'에서 많이 나오기 때문에 'Gen0' 고양이가 게임을 플레이하는 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유전자는 유전 형질을 담고 있다.

김재윤 서울대 가상머신최적화연구실 박사과정 연구원의 크립토키티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마이크로소프트웨어 392호(https://www.imaso.co.kr/archives/2518)'에서 확인할 수 있다.